제갈량의 약점 하나는 쉽게 위임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실제 정사 삼국지에는 사마의가 촉의 사신에게 물어서 얻은 정보로 제갈량을 비판하면서 사소한 일까지 스스로 결정하고 직접 수행하기까지 한다면 어찌 몸을 오래 보전할 있을까.”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다. 일을 지나치게 손수 처리하려고 노력하여 스스로 부담을 많아졌고 이것이 단명하게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결국 사람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우선 촉이라는 땅이 좁다 보니 배출되는 인재의 수가 많지 않아 믿고 맡기기가 어려웠다는 것이 일차 원인이다. 그가 가정전투에서 마음먹고 일을 맡겼던 마속 또한 개인의 과실과 역량의 부족으로 패배하는데 일조하였다. 이것 또한 한편으로는 인재 부족 다른 한편으로는 그를 발탁하여 일을 맡긴 제갈량에게 부분적인 책임을 물을 밖에 없다.

 

마지막 오장원의 싸움을 보면 제갈량의 죽음으로 군대가 질서정연하게 퇴각한 것으로 묘사된다. 상식적으로 자신의 수명이 거의 했다는 안다면 굳이 대병력을 이끌고 위험한 전쟁에 나설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제갈량 스스로도 자신의 죽음을 의외로 생각했고 충분한 대비도 하지 같다. 후퇴하는 과정에서의 위연의 죽음도 배신이라기 보다는 사후에 대한 준비의 부족함이 지도부의 혼선을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제갈량의 뜻과 역량에도 불구하고 굳어진 세력구조를 쉽게 극복하기는 어려웠다. 개인적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하자면 후세에 길이 남을 모범적 재상이었지만 군사적으로는 조조보다 분명히 떨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