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삼국지의 다른 백미라고 있는 제갈량의 북벌을 살펴보자. 여러 번의 대위 전쟁 중에 가장 조건이 좋았던 싸움은 천수,안정 지역의 호응과 맹달의 내응을 받을 있었던 첫번째 출전이었다. 원래 지역은 마초가 맹활약하며 지지를 받았던 곳이다. 마초와 조조의 싸움은 매우 치열했고 패전의 결과 마초의 일족 300명이 모두 멸해지고 오직 마대 혼자만 남았다고 한다. 정복된 지역의 주민들 또한 마음 깊이 조조에 대한 원한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마초의 나라인 촉나라의 군대가 오자 크게 호응을 했다. 더해서 맹달 또한 조비가 들어서면서 자신의 입지가 불안정해지자 촉에게 내응의 뜻을 보였다. 두가지가 결합되었다면 성공을 거두지 않았을까 기대해본다.

전장을 나서는 제갈량의 각오는 출사표라는 훌륭한 문장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전략으로 가자면 논란이 많다. 당시 위연은 자신에게 별동대를 주면 험하지만 가까운 길로 장안 앞까지 막바로 달려가서 적을 기습하겠다고 제안했다. 삼국지에서는 여기에 대해 무모한 이야기라고 비판하며 제갈량 편을 든다. 하지만 전략은 과거 한나라의 시조 유방이 취해서 대성공을 거둔 전례가 있다. 더해서 적이었던 사마의 또한 제갈량이 전략으로 나왔다면 위나라가 한층 위험했을 것이라고 평했던 것으로 보아도 타당성이 있었다. 당시 위나라에서는 제갈량의 존재를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과거의 전쟁에서 제갈량의 전과가 그리 크지 않았다는 증거다. 그래서 잠잠하던 국경선을 넘어 촉의 군대가 밀고 들어 오자 우선 당황했다고 한다. 이렇게 준비가 안된 상대라면 역시 기습이 훨씬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되는 증거들이다. 덕분에 차분하고 안정된 길만 선택했던 제갈량의 당시 선택에 대해 후세의 비평가들로부터 오랫동안 비판을 받았다.

한참 뒤에 여기에 대한 반론이 하나 제기 되었다. 왕부지라는 유명한 학자가 고증을 통해 제갈량이 사실은 전면적 북벌전쟁을 원한 것이 아니라 제한적 전쟁을 시도한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설혹 장안을 점령한다고 해도 위나라가 더욱 많은 군대로 반격해온다면 촉의 군사력으로 계속 이기기는 어렵다고 것이다. 그래서 마초의 영향이 있던 강족 지역으로 가서 사람들을 끌어들여 군사를 보충하고 백성의 머리수를 늘리는 것이 원래의 목적이라는 해석이다.

실제 지역 백성들은 북벌이 실패로 돌아가자 군대를 따라서 촉으로 이주 했다. 어쨌든 가정의 실패 이후 이어진 모두 다섯 차례의 위나라에 대한 원정은 거의 대부분 성과 없이 실패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