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읽는 사람 못 읽는 사람
구사카 기민토 지음, 길영로 외 옮김 / 새로운제안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통찰이 곳곳에 녹아 있는 미래 세상 읽기 책이다.

여러가지 틀을 이용해서 독특한 미래읽기를 시도한다.
기술 수용단계에 대한 5단계의 로저스 이론을 이야기하는데
이노베이터와 고집센 전통주의자가 사실은 서로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한다는게
독특하다.

사회 안에서 하나의 유행이 번져나가는 것을 보기위해서는 보급율을 보라는 조언,
국가의 발전을 보기 위해서는 제조업 위주의 생산에서 문화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창출이 중요하다는 조언 등이 상당히 유용하다.

그래서 유럽의 살롱이 문화에 기여한 바가 크다는 점도 상기해볼만한 가치가 크다.
사회가 발전할 수록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세분화 되고
여유가 있는 상류층이 먼저 문화를 형성하면 이를 다른 계층들이 따라하고
나중에는 주변국에서 흉내낸다고 한다.

미국의 가장 뛰어난 수출품이 영화,교육이라는 생각이 가끔 든다.
앞으로 이 분야를 놓고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자가 주장하는 바는 주어진 답을 찾는 연역법식 사고 보다는
스스로 실험을 통해 새로운 걸 발견하는 귀납법적 사고를 하라고 권유한다.
학교에서 주어진 틀에 맞추어진 교육을 잘 통과한 수재 보다
아무도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새로운 것을 과감히 도전하는 천재가 더 유용한
사회가 될거라고 한다.
얼마전 출간된 블루오션이라는 책도 주장하는 바가 주어진 시장에서 피 튀기면 경쟁해가지고
이기는데만 골머리 썩지 말고 차라리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서 독점을 유지하라고 한다.
이런 책들과 유사한 부분도 많이 발견된다.

이야기 중에 재미있게 느낀 대목이 영국인의 비즈니스 습관이었는데
이들은 중요 거래선이 오면 고성이나 별장을 빌려주고 귀족 대접을 해주어서
재미에 푹 빠지게 만들어놓는다고 한다. 그 다음에 슬쩍 중요한 정보를 얻거나
거래를 만드는데 대체로 자기들이 유리한 쪽이라 한다.
내가 들은 바로는 마찬가지 사례가 미국에서도 발견된다.
성은 별로 없지만 요트에 데리고 간다거나, NBA를 부자들의 전용석에서 구경을 시켜주거나
하는 식의 돈이 있어도 외지인은 접근할 수 없는 차원이 다른 접대를 한다고 한다.

어쨌든 여러모로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었다.
두고 두고 곱씹으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