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돈만들기 적립식펀드가 최고다
정철진.오재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요즘은 주식에 대한 바람이 불고 있고 그 중에서도 간접투자로
적립식 펀드가 한참 인기 몰이를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아직 사람들이 모르는 대목이 있다.
먼저 적립식 펀드를 권하는 논리로 cost averaging 효과를 거론하는데
이는 함정을 가지고 있다.
과거처럼 한국의 주가지수가 BOX권에서만 움직인다면 절대
적립식으로 돈을 벌 수 없다. 그냥 평균에 수렴할 뿐이다.
누구나 주식으로 돈을 벌려면 지수가 꾸준하게 올라갈 때만 가능하다.
미국을 대표로 들먹이는데 미국도 그렇게 된 시대는 80년대 중반 이후다.
다음 펀드 수수료에 대해서 제대로 공개를 하지 않는다.
판매사와 운용사가 구분되어 있는게 장점 처럼 이야기하지만
조금 바꾸어내면 삐끼에게 뜯기고 술먹으면 바가지 쓰는 것과 비슷하다.
은행에서 적극 권하는 펀드 중 상당수는 과도한 판매 수수료와 적은 운용수수료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운용비가 적게 들려면 지수를 따라가는 간단한 로직으로
기계적으로 운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차라리 미국의 뱅가드 펀드처럼
지수 따라가기를 운용철학으로 삼아 적은 수수료를 받는 쪽이 차라리 나을 것이다.
정 수수료를 내려면 이 책에 나온대로 모닝스타라는 미국의 펀드 평가기관의
한국지사에서 하는 펀드 평가를 꼼꼼이 보고 생각하는게 좋을 것이다.
언뜻 보니 내 평소 생각과는 다르게 KTB는 매우 저조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읽다 보면 좋은 글도 있고 그렇지 못한 글도 있다.일본에서 펀드사 사장으로 유명한 사와카미씨가 펀드는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돈을 모으는 것이라고 했다는데 인상적이었다.
반면 맨하튼을 판 인디언 이야기는 지루하고 또 실제적으로 보면 허구에 가깝다.
저자에게 투머로우 골드에 나오는 이 이야기에 대한 비판을 읽어두면 더 좋을 것이라
권하고 싶다.
결론적으로 적립식 펀드 하나의 주제를 제대로 파헤쳤다는 점에서 점수를 주고 싶다.
단 딱 거기까지다. 더 많은 걸 기대하지는 마라. 하긴 매달 수십만원 몇십년간 넣는다면서
어떻게 이런 책 하나 소화하는 시간과 노력을 아까워할 수 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