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를 읽고 나면 이번에는 정사 삼국지 읽기를 시도해볼 만하다. <삼국지연의> 소설이라면 <삼국지> 중국의 정사 25 가지 중의 하나에 들어가는 역사책이다. 전체 내용이 한국에 번역된 것은 최근이지만 중요도는 결코 낮지 않다. 조선에 대한 기록으로 높이 평가받는 위지동이전에는 조선 사람들이 음주가무를 무척 즐긴다는 지금도 널리 받아들여지는 특성을 담고 있다. 역시 당대 중국의 사관들의 관찰력의 예리함과 기록의 정밀함을 다시 있는 대목이다. 삼국지의 저자 진수는 촉나라의 사관출신으로 촉이 망하자 진에 귀속하여 명을 받아 먼저 제갈량에 대한 일고를 저술하였고 다음으로 삼국에 대한 역사서를 저술하였다. 사마천의 기전체 서술 방식을 따르면서 삼국간의 대립에 대해서 나름대로 객관적인 서술을 하려고 한다. 전체적으로 매우 간소한 서술법을 취하고 있는데 가장 중심으로 삼는 인물은 역시 조조다. 권을 읽고 다음의 인상은 인물들이 소설에서 보다 규모가 작다는 생각이었다.  제갈량이나 관우 <삼국지연의>에서 중심으로 서술되는 인물들에 대해 기록이 장을 넘지 못한다. 삼국지에서 형성된 소설로서의 허구에 대해 실제 있었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생각의 균형점을 잡기 위해 책을 차분하게 읽어 보는 것이 괜찮을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땀을 쥐게 하도록 흥미가 있지는 않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촉나라를 내세우고 삼국지에서는 위나라를 내세워서 독자를 헷갈리게 하는데 정말 진실은 무엇인지 궁금할 것이다. 여기서 역사적으로 촉한 정통론이 남송 이후에야 나왔다는 점을 이해야 한다. 남송이라는 사회는 여러 측면에서 명분을 매우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현실정치에서 북방유목민족과의 대결이 만들어 낸 굴욕감의 반작용이라 할 수 있다. 문화를 가졌다는 자부심은 반작용으로 일으켜 세워 정의,전통과 같은 가치를 매우 강조했다. 이 시기에 저술된 주희에 의해 저술된 <자치통감 강목>은 사마광이 지은 <자치통감>이라는 사서를 명분론을 바탕으로 재 서술한 것이다. 여기서부터 촉한이 한을 계승하였다는 근거로 명분을 삼아 유비의 촉을 정통으로 삼는 역사서술이 시작되었고 소설 <삼국지 연의>로 이 분위기가 이어져 갔다.

 

이러한 점을 놓고 볼 때는 조조가 역사에 공헌한 점을 바로 인정해야 한다. 실제 조조는 파괴와 재건을 모두 수행한 인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역사서들은 그가 한왕조와 신의를 저버리고 파괴해갔다는 점을 주로 보았지 그가 붕괴된 질서를 꾸준하게 재건해서 민중들에게 끼친 혜택에는 공정한 점수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런 배경을 안고 당대에 실제 발생했던 사건들과 소설을 비교해가면서 교훈을 찾는 작업을 쭉 진행해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