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몰고 출근시간에 분당을 가다 보면 가끔 길이 꽉 막힐 때가 있다. 마음이 갑갑해지는데 막상 이유를 알아 보니 나뭇가지 정리하는 차량이 한 대 느긋하게 길 따라가며 작업중이다. 이렇게 일하시는 분들이 출근시간대를 선호하는 이유는 있다. 차량이 많아서 속도가 느리니 상대적으로 안전해진다. 반면 도로를 달려야 하는 다른 다수의 출근자들 입장에서는 속이 터지는 일이다.
같은 도로를 이용하면서 한 사람, 혹은 한 집단의 이익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합리적일까하고 묻게 된다.
한 사람이 득 보는 효과를 계산해보고 반대로 다른 집단이 보는 손해를 계산해서 한쪽이 압도적으로 크다면 이를 조정해주는 방향으로 정책을 하는 게 맞다. 특히나 공공발주의 경우 그런 통제가 보다 쉬울 것이다.

요즘 도서관에서 보니 SSAT라는 이름의 각종 기업 입사용 수험서들이 많이 늘어났다. 삼성을 시작으로 어지간한 기업에서는 다 자기들 용으로 하나씩 시험을 개발했다.
시험책자도 두껍고 문제도 꽤 난이도가 높았다.
그런데 여기서 갖게 되는 의문이 몇 가지 있다. 기업이 할 일을 대학 혹은 수험생에게 통째로 넘기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이다. 한 시험을 만들 때는 기업의 담당자 입장에서는 편할 것이다. 자신이 입사자 선택이라는 막강한 권리를 갖고 있다 보니 싫으면 말고 라고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다. 반면 이를 받아들여야 하는 많은 지망자 입장에서는 엄청난 시간을 투입해야 한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힌 일은 삼성의 이런 시험을 따라서 각 기업들이 비슷한 시험들을 따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삼성버전, LG버전, 또 무슨 기업 버전 이런식의 짝퉁질에 의해 골병 나는 건 대학생들이다. 교재비가 한 두 푼 하는 것도 아니고..

여기서도 아까 분당 가는길의 작업차량 처럼 자신의 편의를 위해 주변에 부담을 넘기는 행위를 볼 수 있다.
그냥 이 대목에서 몽땅 시험을 없애버리면 어떠냐고 주장하고 싶다.

최근 삼성은 애플의 행동 하나 하나에 일희일비 하고 있다.
이건희 회장도 틈만나면 한 명의 천재가 1만명을 먹여살린다고 이야기힌다.

이렇게 창의적인 문제 해결자를 원한다는 최근의 경쟁 조류에 비추어보면 암기형 시험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적다.
그런데 이렇게 두꺼운 암기형 교재를 요구하게 되면 학생들이 정말로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아예 없애게 된다. 창의력은 고전읽기, 모험, 다양한 경험에서 나올 수 있지 4개에서 하나 맞추는 형태의 시험에서 나올 수는 없다.
여러 기업이 각기 자기의 편의성을 추구하다 보니 결과적으로는 대학생 다수를 암기형으로 몰아가게 된다. 아무도 원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런 대목에서 바로 여론, 공공기관, 정부가 역할을 해 주어야 한다.
문제를 넓게 보고 간결하게 교통정리를 해주어야 한다.

당사자인 대학생들이 직접 나서는 것도 중요하다.
“이 부당한 갈고리들을 제발 걷어주세요. 우린 이미 충분히 지쳤거든요..” 하고 말해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