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열심히 하다가 문뜻 자신이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다는 한계를 깨닫게 된다. 이 때 내가 지행해야 할 길이 무엇인가 묻게 된다.

이럴 때 흔히들 세가지 길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전문가, 한가지 테마를 확실히 파고들어가 남들에게 그 사람이야말로 문제해결사야라는 소리를 듣는다.
관리자, 두루 사람과 일을 알아 힘을 모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이 하는 사람에게 목표를 잘 부여할 수 있다.
사업가, 일을 돈으로 환산시킬 수 있다. 돈으로 돈을 벌 수 있게 한다. 최종 결과에 책임을 질 수 있다.

회사로 보면 처음 실무자로서 일하다가 과장부터 관리자 생활을 하고 나중에 임원이 되면 최종적으로 사업가로서 활동하다가 마친다고 이야기될 수 있다.
그럼 전문가 < 관리자 < 사업가라는 공식이 성립되는 것인가 질문을 가질 수 있다.

예전이라면 그렇지만 지금은 꼭 그것이 맞다고 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먼저 업종에 따라 전문가가 관리자보다 더 많은 대우를 받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ERP 분야에서는 한 업무를 오래 한 사람들이 월 1000만원이 넘는 보수를 받으며 개인 전문가로 활동하게 된다. 반면 이들을 관리하던 관리자들은 오히려 전문성이 없어서 그 보다 반 정도의 보수로도 만족하면서 자신의 일을 하게 되는 모습도 보게 된다.

우스개 소리지만 비슷한 예로 세무공무원들이 승진 하지 않으려 한는 현상이 있다. 직접 발로 뛰는 현장을 떠나면 오히려 보수가 내려간다고 한다. 이 것이 단순 급여를 뜻하지 않는다는 점을 잘 아시는 분이 많을 것이다.

하여간 전문가의 길을 가려면 몇가지 오해를 넘어서야 한다.
대상이 과연 시간이 오래갈수록 깊이를 인정받는 분야인지 아니면 단순히 육체적 노동력만 원하는 분야인지를 알아야 한다. 괜히 당신이야말로 전문가야 하면서 한가지 일에 오래 사람을 붙들어 놓으려는 관리자가 있기 때문인데 헛된 믿음이야 말로 위험하다.
단순이 일과 직장에 자신의 시간과 몸을 빌려주는 지 아니면 시간과 노력을 들인만큼 깊이가 만들어지는지 잘 보아야 한다.

나이 들수록 장인의 대우를 받을 수 있나 아니면 일거에 대체품에 의해서 사라질 수 있는지 그런 흐름도 잘 보아야 한다. 피아노 조율사나 식자공이 단번에 사라지는 현상을 보면 그렇다.

한 가지 더 고려할 점은 대체품의 등장이다. 바다를 넘어서 온 중국 조선족 요리사 덕분에 중국집 주방장들이 거리에 많이 나왔다는 소문도 있다. 이는 첨단 컴퓨터 분야도 예외가 아닌데 미국의 경우 아웃소싱 바람으로 IT 분야 job이 인도로 날라가버리기도 한다.
다니엘 핑크의 경우 심하게 말해서 화이트컬러들의 job 중 반복적인 많은 부분, 회계사 등 전문가라고 하는 부분도 대체되거나 사라진다고 예언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