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놀자 > 타임즈가 뽑은 20세기 최고의 책 100선

Top 100 Book at 20C  -- UK 'The Times', 1999


 

I. 문학
1. D.H.로렌스/ 아들과 연인/ 1913
2. 루쉰/ 아큐정전/ 1921
3. 엘리엇/ 황무지/ 1922
4.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1922
5. 토마스 만/ 마의 산/ 1924
6. 카프카/ 심판/ 1925(?)
7.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앗/ 1927
8. 버지니아 울프/ 등대로/ 1927
9. 헤밍웨이/ 무기여 잘이거라/ 1929
10. 레마르크/ 서부전선 이상없다/ 1929
11.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1932
12. 앙드레 말로/ 인간조건/ 1933
13.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1939
14. 리처드 라이트/ 토박이/ 1940
15. 브레히트/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1941
16. 카뮈/ 이방인/ 1942
17. 조지 오웰/ 1984/ 1948
18. 사뮈엘 베게트/ 고도를 기다리며/ 1952
19.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롤리타/ 1955
20. 유진 오닐/ 밤으로의 긴 여로/ 1956
21. 잭 케루악/ 길 위에서/ 1957
22. 파스테르나크/ 닥터 지바고/ 1957
23. 치누아 아체베/ 무너져내린다/ 1958
24. 귄터 그라스/ 양철북/ 1959
25. 조지프 헬러/ 캐치 22/ 1961
26. 솔제니친/ 수용소 군도/ 1962
27.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 동안의 고독/ 1967
28.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 1980
29. 밀란 쿤데라/ 참으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984
30. 살만 루슈디/ 악마의 시/ 1989

II.인문
1.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1900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강의/ 1916
3.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920
4.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1923~27
5. 지외르지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1923
6.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1927
7. 펑유란/ 중국철학사/ 1930
8. 아놀드 토인비/ 역사의 연구/ 1931~64
9. 마오쩌둥/ 모순론/ 1937
10.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1941
11. 장 폴 사릍르/ 존재와 무/ 1943
12. 칼 포퍼/ 여린 사회와 그 적들/ 1945
13.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1947
14. 시몬 드 보봐르/ 제2의 성/ 1949
15.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1951
16.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1953
17.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1957
18. 에드워드 헬렛 카/ 역사란 무엇인가/ 1961
19.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야새의 사고/ 1962
20. 에릭 홉스봄/ 혁명의 시대/ 1962
21.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의 이념/ 1964
22. 미셸 푸코/ 마과 사물/ 1966
23. 노엄 촘스키/ 언어와 정신/ 1968
24. 베르터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 1969
25.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앙티오이디푸스/ 1972
26. 에리히 프롬/ 소유냐 삶이냐/ 1976
27.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1978
28.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979
29.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1979
30. 위르겐 하버마스/ 소통행위이론/ 1981

III. 사회
1. 브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
2. 프레드릭 윈슬로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 1911
3.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1926~37
4. 라인홀트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1932
5. 존 메이너드 케인스/ 고용.이자.화폐 일반이론/ 1936
6. 윌리엄 베버리지/ 사회보험과 관련 사업/ 1942
7. 앙리 조르주 르페브르/ 현대세계의 일상성/ 1947
8. 앨프리드 킨지/ 남성의 성행위/ 1948
9. 데이비드 리스먼/ 고독한 군중/ 1950
10. 조지프 슘페터/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1950
11. 존 갤브레이스/ 미국의 자본주의/ 1951
12. 대니얼 벨/ 이데올로기의 종언/ 1960
13. 에드워드 톰슨/ 영국노동계급의형성/ 1964
14. 마루야마 마사오/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1964
15. 마셜 맥루헌/ 미디어의 이해/ 1964
16. 케이트 밀레트/ 성의 정치학/ 1970
17. 존 롤스/ 정의론/ 1971
18. 이매뉴얼 위러스틴/ 세계체제론/ 1976
19. 앨빈 토플러/ 제3의 물결/ 1980
20. 폴 케네디/ 강대국의 흥망/ 1987

IV.과학
1. 알버트 아인슈타인/ 상대성원리/ 1918
2. 노버트 비너/ 사이버네틱스/ 1948
3. 조지프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1954
4.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1962
5. 제임스 워트슨/ 유전자의 분자생물학/ 1965
6.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1978
7. 에드워드 윌슨/ 사회생물학/ 1980
8. 칼 세이건/ 코스모스/ 1980
9. 이리야 프리고진/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10. 스티븐 호킹/ 시간의 역사/ 1988

V.예술,기타
1. 헬렌 켈러/ 헬렌 케러 자서전/ 1903
2. 아돌프 히틀러/ 나의 투쟁/ 1926
3. 마하트마 간디/ 자서전/ 1927~29
4. 에드거 스노우/ 중국의 붉은 별/ 1937
5. 아놀드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940~50
6. 안네 프랑크/ 안네의 일기/ 1947
7. 에른스트 한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1948
8. 말콤 엑스/ 말콤 엑스의 자서전/ 1966
9. 에른스트 슈마허/ 작은 것이 아름답다/ 1975
10. 넬슨 만델라/ 자유를 향한 긴 여정/ 19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공 디스커버리 42권을 묶어서 팔더군요.

무지하니 센 할인에

그리고 무이자 10개월 할부란 이야기에

텔레비젼앞에서 발작하고 있었더니,

엄니가 카드로 끊어주셨습니다. ㅋㅋ

행복합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놀자 2005-01-09 2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확히 얼마에??^^; 궁금하네요.

panda78 2005-01-09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아아- 저도 볼 때마다 탐냈답니다. 40%정도 할인되지요?

42+2 중 제가 갖고 있는 것이 4권 정도 돼서 단념하긴 했지만 정말 끌리더라구요.

soyo12 2005-01-10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한 4권 혹은 더 이상 되었는데, 차라리 저걸로 얼마동안 선물하지란 생각으로. ㅋㅋ 40%할인이었고, 음..........17만원대였나? 그 정도였어요^.~
 

 대학교 1학년 겨울 방학 때인가요?

주변의 질시를 받으며

아가사 크리스티를 탐독한 적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 닥치는 대로 읽다보니

범인이 감이 잡히며 점차 그녀의 모든 스타일이 진부해져

왜 그리 높은 평가를 받는 지 이해를 못하는 단계가 되었지요.

하지만 이번에 광고가 맘에 들어서 읽은 비뚤어진 집에서

그녀의 진가를 확인합니다.

재미있네요.^.^

워낙에 오랜 시간에 걸쳐서 읽은 관계로 확실한 감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범인이 공개될 때 저의 편견에 당황하여 흥미있게 읽었습니다.

설마 설마 하고 있었거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미남 종합세트를 상당히 선호하는 이유로

아무 생각없이 기대하며 본 영화입니다.

결론은 음. 역시 죠지 클루니는 진중하고

브래드 피트는 탄력있고,

맷 데이먼은 이들보다는 파워가 떨어집니다.

한때 제 가슴을 설레게 했던 앤디 가르시야는 세월을 피해가지 못했고-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살만 쫌 빼도 괜찮을 듯 한데........

뱅상 페레는 늘 섹쉬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전 그리 좋지는 않습니다.

줄리아 로버치는 점점 현실 속의 리얼한 여인이 되어가고 있으며

캐서린 제타 존스는 음........역시 지존입니다.

단 한 번도 같은 옷을 입고 등장하지 않는 그녀는

당대 최고의 여성 카리스마가 아닐까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그런 엄청난 물량 공세에도 불구하고,

음. 범죄에 그들의 도둑질이 파워가 모자릅니다.

그래서 다소 실망입니다.

그저 뱅상 페레의 화려한 몸놀림-마치 앤트랩먼트의 캐서린을 벤치 마킹 한 듯한 그의 도둑질에

감동하고 늘어진 편집에는 실망입니다.

뭐, 두시간 눈요기 했으면 됐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연극이라고 합니다.

미완성인 대본이라

연출가의 역량이 가장 잘 드러나는 연극이라고도 하더군요.

24살에 요절한 한 천재 작가의 작품

주인공의 이름과 같은 제목을 가진

[보이체크]란 연극을 봤습니다.

 

그리 많은 경험은 아니지만

동유럽권 연출가들의 숨결이 느껴지는 공연을 보다보면

배우들의 역량을 극도로 요구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리 화려하지 않은 하지만 기발한 무대는

배우들을 죽이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나게까지 하며 극단의 능력을 요구하네요.

이번 공연은 하일라이트는 거의 30도의 경사로 만들어진 무대와

그 위에서 계속적으로 뛰어다니던 그들의 역량이었습니다.

정말 존경스러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