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 1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드라마를 워낙에 좋아하시는 엄니하고 사는 덕에,

나는 왠간한 삼사 방송국 드라마의 스토리는 다 외우고 산다.

어렸을 때부터 이런 주입식 교육이 계속된 관계로,

우리 집에서 엄니와 나의 주된 화제는

우리 집의 생업을 제외하고는 드라마 이야기가 거의 전부다.

게다가 요즘 하는 드라마중에서 울 엄니가 집중하고 보시는 건

파리의 연인과 풀하우스뿐이니-우리 엄니의 가장 이상적 인간형은 비다.

둘이 앉아서 또다시 파리의 연인 스토리를 구성하고 있었다.

그 결론은

최이사와 기주 왕자와의 권력다툼-아마 이건 소액 주주 꼬심으로 갈 것 같고,

그 상황에서 일본 바이어를 등에 업고 있는 최이사와

프랑스 바이어를 섭외해야하는 기주의 입장 속에서

김청 다시 말해서 강태영의 선배가 그를 도와주지 않을까?

그렇다면 김청의 역활은 그야말로 대모 요정이군.^.^;;

당연히 그 과정에서 한 번 정도는 문윤아 그여자가 기주와 수혁의 관계를 폭로할꺼구,

둘은 당연히 당황할꺼구,

그런데 궁금한 건 냉정한 남자로 변신을 하는 수혁이

언제 다시 기주 편으로 돌아서는가이다.

한없이 동건이를 좋아하시는 울 엄니는

지금도 수혁이 사랑 때문에 눈이 뒤집혀진 것이 아니라

태영이의 행복때문에, 최이사의 야심을 저지하기 위하여 그 편에 서는 것이라고 주장하신다.

그래서 결정적인 순간 최이사의 뒷통수를 가격할꺼라고,

물론 최이사의 뒷통수를 가격할꺼라는 말은 이해가 가는데,

지금 하는 행동이 태영이의 행복때문에 하는 가면일까?

그건 의심스럽지만, 엄니한테 게기면 밥을 못얻어먹는 관계로 그렇다고 해주기로 했다.^.^;;

이 두가지 사건이 동시에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태영이의 입지가 강화되려면 태영이 아버지의 영화가 재평가 되는 장면이 들어가면 될 것 같은데,

그것까지 진행되면 오히려 드라마가 코미디가 될 것 같기도 하다.

끝으로 엔딩 장면에 기주와 수혁, 그리고 태영이가 한번은 과거에 스치듯이 만났던 장면이 들어갈 것 같은데, 그건 첫회에 수혁이 계속 물어봤던, 나 기억 안나? 그 대사때문에 생각난거다.

언젠가 어느 영화에서 모든 이야기가 끝난 다음에

어렸을 때 주인공들이 만났다가 헤어졌던 장면이 나왔던 것 같은데,

그런 분위기로,

그런데 드라마 스토리를 생각해보다가 연상된 건대,

이 드라마는 [귀여운 여인]을 모티브로 삼았다고 했지만,

점점 [사브리나]를 닮아가는 것 같다.

인물 설정 부터, 사브리나에서는 마지막에 오드리 헵번을 파리로 보낸 다음에 험브리 보가트가 포기하고 있지만 그 동생이 그를 보내주는데, 이 드라마도 그런 식으로 끝나지 않을까?

하긴 보가트처럼 기주가 그냥 태영이를 보낼 것 같지는 않지만

하여간 끝에는 파리에서 둘이 살겠지?

여기까지 울 엄니와 내가 생각한 이후 [파리의 연인] 스토리다.

얼마나 맞을까?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arrysky 2004-07-23 0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대단한 상상력들이세요!!! 전 그런 건 전혀 생각도 못 하고 그냥 토요일만 열심히 기다리고 있슴다. ^^ 단 하나 생각해본 엔딩이라면 회사를 수혁에게 넘기고 기주는 태영과 파리로 간다, 정도인데 과연.. 나중에 끝나고 나서 soyo12님의 이 페이퍼를 다시 읽으면서 얼마나 맞추셨나 봐야겠어요. ^^

soyo12 2004-07-23 0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긴장되는데요. ^.^
오늘 13부 미리보기를 읽어봤습니다.
이제부터 고난의 연속 같더군요.
그냥 제 맘 같아서는 둘이서 계속 닭살이나 날리며 계속 알콩달콩 했으면 하는 소망도.
그런데 그 빨간 돼지 나중에 태영이 혼자서 잘 보관하고 그걸로 만날 것 같지 않아요? ^.~
 

난 조성모를 참 안좋아한다.

그의 뮤직비됴에 돈이 발리는 것을 보면서

참 열심히 보기도 했지만,

이상하게 그가 무대에 나와서 노래를 하는 것을 보면

절대로 마음에 들지않았다.

-어쩔 때는 그가 연애 프로에 나와서 수줍게 이야기하는 건 참 좋아했다.

그런데 내가 미치긴 미쳤나보다.

며칠 전에는 PDBOX에 가서 조성모를 뒤져서 그의 노래를 하루 종일 듣더니,

이제는 전화 벨 소리까지 바꿨다.

그리고 느꼈다.

난 남자 배우에 필 꽂혔을 때만 전화벨 소리를 입력하는 걸,

얼마전까지 내 전화벨 소리는

강.동.원이 주연했던 [1%의 어떤 것]의 주제가였다.

지겹게도 계속 그걸 넣었다가

연애도 안하는 것이 그러고 있다고 욕을 먹었는데,

이번엔 귀여운 걸로 바꿨다.

통화연결음은 애기야가자 패러디로,

그리고 전화 벨소리는 조성모 노래로,

아마도 다음 번에 필 꽂히는 남자가 나타날 때까지는 이 소리일 것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nda78 2004-07-21 0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리의 연인 안 보는 저로서는 요즘 정말 소외감을 느낍니다요. 발리 이후 처음이네요. ^^;;
담주부턴 봐야겠네..

밀키웨이 2004-07-21 0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판다님, 저도 파리의 연인 잘 안봐져요.
드문드문...걍 동건이 때문에 봐요.

저는 조성모의 그 과장된 닭살스러움이 싫으면서도 그의 노래를 듣기만 하는 건 좋아했어요 ^^

soyo12 2004-07-21 0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기주왕자때문에 봅니다.
이상하게 예전부터 박신양의 약간 어색한듯한 그 말투와 목소리가 좋아요.
ㅋㅋ 이번에 기주역은 정말 완벽한 이상형 아니에요? ㅋㅋ
돈 많고, 왠만큼 생기고, 게다가 순진하고, 헌신적이기까지 하니,
그저 보고 있어도 행복하답니다. ^.~

starrysky 2004-07-23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파리의 연인 끝나고 나면 그 이후에는 어떻게 사나.. 싶어서 슬픈.. ㅠㅠ
아아, 물론 이 증상은 '상두야 학교 가자'가 끝났을 때도 '발리에서 생긴 일'이 끝났을 때도 있었던 증상이지만 그래도 당할 때마다 가슴이 아려요. 흑..
기주도 좋고, 수혁이도 좋고, 태영이도 느무 좋고.. ^^
근데 인기 높으니까 몇 부 연장방송한다는 얘기도 있던데 그건 반대여요. 원래 예정대로 콤팩트하게 끝나야지 괜히 질질 늘리다가 시청자들 맘 상해서 안 좋게 끝남 어케요.. 그죠? ^^
 
사랑은 비를 타고 S.E (2disc) - 할인행사
진 켈리 감독, 진 켈리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동명의 뮤지컬을 팝콘 뮤지컬 극장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뮤지컬을 보면서 갑자기 열렬히

어렸을 적 보았던 영화가 보고 싶어지더군요.

뭐라고 할까?

이 음악에 이 공연에는 역시 진켈리가 제격이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쇼라는 의미에서의 뮤지컬의 거의 완성작인 것 같습니다.

극 중의 내용처럼 무성영화가 말을 하기 시작했을 때

그 장점을 가장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이 바로 노래극이었던 것처럼,

이 공연은 그 시절을 배경으로 하여,  그렇게 시작된 뮤지컬의 역사의 어쩌면 최고 완성작을 보여줍니다.

스토리 면에서는 다소 빈약할 수도 있지만,

그 중간 중간에 배우들 어느 정도 일가를 이룬 배우들의 장기를 넣고,

그리고 지루할 순간이 되면 눈이 현란할 정도의 군무를,

하니면 지금까지도 최고의 댄서라고 불릴 수 있는 진 켈리의 탭이 들어가더군요.

제가 뮤지컬을 보고 갑자기 진켈리가 그리워진 것은

이 공연 자체가 철저하게 진 켈리에게 맞춰진 영화였기 때문이더군요.

완벽에 가까운 구성에,

그리고 서플에서는 이 작품이 왜 최고가 될 수 밖에 없는 지를 보여줍니다.

한 시대를 풍미한 제작자의 완성작이더군요.

그 제작자의 작품 세계를 다룬 다큐와 당시 최고였던 MGM의 다큐를 보면서는 기절하는 줄 알았습니다. 거의 모든 배우들이 등장을 하더군요. ^.^

그리고 보너스로는 이 영화 속에 나오는 노래들을 부른 다른 가수들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정말 서플만으로도 값어치를 하는 최고의 DVD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고,

필력도 모자르지만,

지난 며칠간은 미칠 듯이 글을 쓰고 싶었는데,

한타가 안됐다.

분명히 마태우스님의 말씀으론 나갔다 다시 들어오면 된다고 했는데,

그런데 죽어도 안된다.

그래서 그냥 껐다. 그럼 그렇지, 내가 무슨 글이야라는 자조적인 말만 중얼거리고. ^.^;;

 

요즘 그토록 글을 쓰기 싫어하는 나에게 글을 쓰고 싶게 만드는 대상은 [파리의 연인]이다.

정신을 잃을 정도로 사랑스러운 드라마,

정말 유치하고 결론도 빤히 보이는데도,

그래도 좋다. ^.^

뭐랄까? 사는 것이 만만치 않을 때에는 그저 행복하고, 유치하고, 이쁜 그런 드라마가 좋다는

울 엄마의 주장처럼, 어쩌면 내가 사는 것이 지금 녹녹치 않은가보다.

과거를 회상하는 것보다 이런 만화같은 소재가 좋다.

그냥 지금 정신을 못차리겠다.

그것뿐이다.

ㅋㅋ 별로 쓸 이야기도 아니었잖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지노 살인사건 - 파일로 반스 미스터리 2
S.S. 반 다인 지음, 이정임 옮김 / 해문출판사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속 반 다인의 책을 읽고 있습니다.

잘난 척 하고 잘난 남자들을 워낙에 좋아하는 제 성격에

정말 딱 이상적으로 보이는 주인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어떤 사건이라도 한 번만 보면 이미 결론을 파악하고

그 사건의 범인일 수 밖에 없는 그 남자를 찾아가는 추리 방법

이건 정말 이 작가 특유의 스타일아닐까요?

가끔은 역겨울 정도로 위화감이 들기도 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아니었습니다.

그래도 이번 카지노에서는

지나치게 무슨 일이 있을 정도로 예언을 하지도 않고,

계속되는 사건에 다소 당황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인간적인 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것으로 만족스렀습니다.

나중에 범인을 잡은 후에도 모든 그의 행동을 예측한 그의 전지전능함에 조금 당황스럽더라도 그 정도는 똑똑한 사람들이라면 다 할 수 있는 특권일테니까.

그냥 용서하지요.

그의 잘난 척에 빠지는 것두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 1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