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log.naver.com/ks070/140011474585

달리 [ 기억의 고집]
+

휘슬러 [화가의 어머니]
=

어머니의 고집. ^^

툴루즈 로트렉 [ 물랭 루즈에서]
+ 고흐 [귀를 자른 자화상] , 다빈치 [모나리자] =


미켈란젤로 [천지창조]

심슨 창조 ㅋㅋㅋ

뭉크의 [절규]

심슨판 절규. ^^;

그랜트 우드 [아메리칸 고딕]

아메리칸 스크림. ㅎㅎ

청바지를 입은 다비드?

라파엘로 [ 식스투스의 마돈나]

타락천사? ㅎㅎ


고흐 [밤의 카페]

^^;;
패러디의 전형
패러디되는 작품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라면, 당대의 혹은 전대의 인기있는 작품이 패러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사실이다. 즉 누가봐도 알만한 공공연한 역사적 작품이어야 하며, 이를 '의도적으로 차용'했다는 납득할만한 객관적인 타당성을 지녀야 한다. 이렇듯 패러디스트들은 대부분 주의를 끌지 않는 작품에 자신의 재능을 낭비하지 않는다. 패러디는 크게 세 종류의 전형으로 나누어지지만 이들이 서로 혼재하여 나타나는 등 실상 분류보다 훨씬 다양한 전형들이 존재한다.
1. 조롱의 패러디
전통적인 패러디는 실상 조롱이나 경멸조의 것이 많았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패러디의 대부분이 이 조롱이나 경멸의 그것이다.
2. 존경의 패러디
변경만 되었을뿐 조롱되지는 않는다.
3. 중립적인 패러디
전경화된 텍스트와 후경화된 텍스트에 대한 공격성이 전혀 없는 것들이다. 개인적 콤플렉스를 표현한 것도 아니고 단지 전 텍스트 혹은 그 작가와의 사실적 혹은 잠재적 관계를 위해 선택하는 경우가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