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아이 키우려면 철학책 좀 봐야겠다. 그렇지 않아도 아이의 질문이 하루가 다르게 성숙하고 있는데 나는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초지식조차 배우지 못했다는 느낌이 든다. 내가 받은 교육은 구구단을 암기하는 차원에서 하나도 발전한 것이 없었다. 그저 암기하고 또 암기했을 뿐, 그것을 왜 암기해야 하는지 어느 때에 그것을 어떻게 응용하는지 전혀 배운 게 없다. 사회에 나와 보니 전부 다시 배워야 할 것 같았다. 아이를 키우면서 더욱 내가 배운 교육이 너무 보잘 것 없어 속상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내 아이들도 그런 교육을 받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더욱 그렇다. 해빈이 국어책을 보면 왜 공부하기 싫어하는지 짐작이 간다. 세상에서 제일 재미없는 책이 국어책이라고 한다. 그러니 다른 교과서는 말할 것도 없지.
== 아이와 함께 행복해지기, 64~65쪽, 채인선, 보리, 1996
내가 다닌 학교, 내가 받은 교육도 다를 것 없다.
나는 아직껏 그 두꺼운 수학 정석 책의 3분의 1 지점에서부터 끝까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화학이나 지구과학 시간에 나오는 공식들은 딴나라 이야기였고, 외우기만 하면 된다는 생물조차도 어려웠다. 성문종합영어는 한자가 너무 많아 들춰보기조차 싫었고, 남들은 쉼다고 두세 번은 기본으로 보는 맨투맨 기본이나 종합도 끝까지 본 적이 없다. (이렇게 말해 놓고 보니 좀 민망하군...)
그래도 공부를 하겠다고, 일요일이면 교실을 개방하는 학교에 가서 아침부터 창가에 자리잡고 앉아 책을 펼쳤다. 글자가 눈에 들어올 리 만무, 턱을 괴고 푸르기만 한 하늘을 쳐다보며 멍하니 있기 일쑤였다.
이 글을 보고 그 때가 떠올랐다. 보고 있으면 가슴이 푸르러지는 하늘, 창가의 나무책상, 뭔지 모르지만 아련한 느낌의 그 때. 그리고 내 아이. 내 아이와 함께 학교를 다닐 다른 아이들.
가슴이 답답하다.
아이가 길을 가다 저게 무어냐고 묻는다. 쳐다보면 늘 보던 건데도 이름조차 모르는 경우, 막막해진다. 설명해 주어야 하는데 도대체 모르겠는 경우, 내가 한심해진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묻는데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이 없다. 부끄럽다.
정말 "사회에 나와 보니 전부 다시 배워야 할 것 같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