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세계테마기행>에는 내노라하는 여행가들이나 지역전문가들이 대거 등장한다. '저 사람들

은 좋겠다. 여행도 하고 돈도 벌고 TV에도 나오고...' 늘 부러운 시선으로 이 프로그램을 보는데 이들 출연자들의 압권은 단연 한국방송통신대의 중국어과 김성곤교수이다. 특히 이 분의 중국한시낭송은 늘 감탄을 자아낸다. 자유자재로 흘러나오는 저 낭랑한 한시에 한량같은 특유의 호탕한 기운까지 더해지면 그저 넋 놓고 바라볼 뿐이다.

 

이 분의 강의를 드디어 들어볼 기회가 왔다. 인천지역 방송통신대 중국어과 3학년 출석수업에 이 분의 강의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는 저녁밥을 김밥으로 대강 때우고 수업을 들으러 갔다. 길쭉한 강의실에는 대략 60~70여 명의 학생들이 들어차 있었다. '학생'이라지만 대부분이 늙수그레한 분들이었다. 평균나이 55세 정도? 남자들은 60대 이상되는 분들이 많았고 여자들은 20대도 더러 있었다.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놀랍기도 하고.

 

덕분에 소동파의 전적벽부 원문을 읽었다.

 

壬戌之秋七月旣望, 蘇子與客泛舟游於赤壁之下   

임술년 가을 7월 16일에 나는 객과 더불어 배를 띄워 적벽 아래에서 노닐게 되었다.

淸風徐來  水波不興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 오고 물결은 일지 않았다.

 

이렇게 시작되는 적벽부는 후반부에 이르러 어떤 경지에 이르게 되는데,

 

" 흘러가는 것은 강물과 같이 쉬지 않고 흐르지만, 그 흐름은 다하는 일 없이 여전히 흐른다.

차고 기울어지는 것은 저 달과 같지만, 끝내 아주 없어지지도 더 늘어나지도 않는다.

변한다는 관점에서 사물을 보면 천지간에 한순간이라도 변하지 않는 것이 없고,

변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보면 만물과 나는 모두 무궁한 것이니 또 무엇을 부러워하겠소?

천지 사이의 모든 사물은 각기 그 주인이 있어서

만약 나의 것이 아니면 털끝만한 것이라도 취할 수 없지만,

오직 강 위에 부는 밝은 바람과 산 사이에 뜨는 밝은 달은

귀로 들으면 아름다운 소리가 되고, 눈에 담겨지면 아름다운 경치가 된다.

이를 취하여도 막는 사람이 없고 아무리 써도 없어지지 않는다.

이것이야말로 조물주가 주신 무진장한 보배이니,

나와 그대가 함께 즐기고 있는 것이라오."

 

 

한문을 옮기기가 너무나 번거로워 해석만을 옮겨보자니 예전 우리아버지가 떠오른다. 어떤 것을 설명하실 때는 늘 한자를 써서 한 글자 한 글자 뜻풀이를 해주시곤 했다. 내가 조금이라도 아는 체를 하며 한자를 써볼 요량이면 '그것도 글씨냐'며 한말씀 하시곤 했다. 그러다가 시대가 변해 이제 내 자식이 영어를 쓰게 되면 '그것도 영어발음이냐'며 내가 타박을 놓는다. 아마 위의 시도 영어로 되어 있다면 기꺼이 원문을 베꼈을 지도 모른다.

 

강의실에 꽉 들어찬 늙은 학생들을 보며, 이제는 확실히 중국어가 대세가 되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아니지만 머잖아 중국어가 필수과목이 될 날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영어도 시원찮고 한문 실력도 없는 우리 아이들은 또 어찌해야 되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김성곤교수의 유쾌한 수업 이야기에서 결국은 아이들 걱정으로 글을 맺는다. 세상엔 공부할 게 너무나 많다.

 

 

( 원문의 한문을 누군가의 블로그에서 복사했더니 줄 간격이 내 맘대로 안 되어 윗글과 아랫글이 간격이 다르다. 요만큼 쓰는데도 지친다, 벌써.)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은돼지 2016-09-01 17: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읽어보는 적벽부입니다
임술지추칠월기망에 소자여객....어쩌고....청풍은서래하고 수파는불흥이라...저쩌고
아둔한 머리로 외워보려고 낑낑대던 시절이 생각나는군요 ~~

nama 2016-09-02 07:27   좋아요 0 | URL
저는 소동파보다는 셰익스피어랑 친해서인지 한문이 영 외워지지 않습니다. 영시도 물론 외우지못하지만요. ㅠ 한문을 독학하려면 독기가 필요할 듯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