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영어교과서에는 유독 favorite라는 단어가 많이 나온다. 툭하면 favorite movie, favorite sport, favorite food, favorite country, favorite subject, favorite star...반드시 무엇인가 좋아하지 않으면 대화자체가 안 되는 상황이 수도 없이 나온다. 왜일까? 왜 편견을 조장하고 강화시키는 걸까? 왜 자신의 속마음을 만천하에 드러내야 하는 걸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밝혀야만 서로 소통이 가능한가?

 

소설가 윤후명을 좋아한다고 말하고 싶었는데 그걸 단박에 드러내고 싶지 않아 망설이던 참에 favorite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80~90년대는 나에게 단연 무라카미 하루키와 윤후명의 시대였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첫 소설<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첫사랑의 아련함 같은 게 배어있고, 윤후명은 그의 어떤 특정한 소설보다 그냥 윤후명 자체로 남아 있다. 굳이 표현하자면 '윤후명스러움', '윤후명체'라고나 할까.

 

도서관 서가를 기웃거리다가 윤후명의 책을 만나면 무심결에 손이 간다. 눈인사라도 해야 한다. 그래서 잡게 된 책이 다음 책이다.

 

 

 

 

 

 

 

 

 

 

 

 

 

 

 

 

 

 

두 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사랑의 방법>, <원숭이는 없다>와 몇몇 작가의 감상평, 그리고 말미에는 작가가 쓴 '문학적 자전'.

 

<원숭이는 없다>는 분명 예전에 읽은 소설인데도 마치 처음 읽는 듯했다. 윤후명이란 소설가의 소설이 대개 그런 것 같다. 새 소설을 읽어도 언젠가 읽었던 것 같고, 다시 읽어도 마치 처음 읽는 것 같다. 소설 속 문장들이 때로 시와 같아서 운문과 산문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것 같다.  문장도 그렇고 소설 속 분위기도 그렇다. 뭐가 시적이냐? 라고 뭉는다면 딱히 분명하게 말할 수 없지만, 내가 윤후명의 소설을 접할 때면 늘 느끼는 기분이다. 한때는 그의 소설을 필사해볼까 생각도 했었다. 생각으로 그쳤지만.

 

분명 읽은 소설인데 새롭게 다가온 구절을 옮긴다.

 

그 뒤 나는 원숭이 꿈을 여러 번 꾸었는데 나타난 것은 어김없이 그 원숭이였다. 그리고 꿈이 아닌 현실에서도 한 마리의 원숭이를 두고두고 머릿속에 간직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자신이 아무리 외로운 상태에 빠져 있다 하더라도 그 속내를 함부로 다른 사람에게 나타내고 함께 나누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는 교훈으로서의 원숭이의 얼굴이기도 했다.

 

이 소설속 원숭이는 다의적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위의 문장을 보고 원숭이의 의미를 속단해서는 곤란하다. 만약 이 소설을 지문으로 해서 문제를 내게 된다면, 예를 들어 '작가의 의도는?', 혹은 '이 소설에서 원숭이가 상징하는 바는?' 같은 걸 묻는다면 분명 작가조차도 정답을 맞힐 확률이 그리 높지 않으리라. 얼마전 안도현 시인의 강연에서 안도현 시인이 그랬다. "내 시가 실린 문제를 풀었는데 다섯 문제 중 하나가 틀렸다. '작가의 의도는?'이라는 문제였다.'

 

 

오늘도 내 속내를 함부로 드러내는 일을 하고 있다. 윤후명의 소설을 빌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5-12-03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a님, 영어를 쓰는 사람들이 favorite 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는 편인가요. 읽다보니 그냥 궁금해서요. ^^;
오늘 눈이 참 많이 오고, 바람도 많이 불면서 추워요.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nama 2015-12-03 12:32   좋아요 1 | URL
그거야 모르지요. 실제 어떤지는...
눈이 펑펑 쏟아지다가 해가 반짝나고, 참 황홀한 날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