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수도는 어디일까? 흔히들 잘못 알고 있는 양곤은 경제 수도고, 네삐더는 행정 수도, 그리고 만달레이는 문화 수도라고 한다. 미얀마 제 2의 도시다. 바간에서 버스로 5시간 걸린다.

  이곳 또한 무식하게(?) 하루만에 소화하느라고 뼈빠지게 돌아다녀야 했다. '괴로움은 즐거움과 만난다.' 이 말은 여행에서나 가능한 말이고, 배 불렀을 때나 할 수 있는 말이다. 하여튼 몸은 피곤했지만 눈 만은 호사를 누렸다.

  일정이 빡빡했다. 오전 7시 40분에 시작된 투어는 우베인 다리에서 일몰을 보는 것으로 마감했다. 여행 내내 일몰과 일출을 거의 매일 접했다. 지평선이 퍼져 있는 지역이라 가능했을 터이고 여행 중 딱히 그 시간대에 할 일도 없었으니 여행지에서 하나라도 더 보고 느끼기 위해서 매일 일충과 일몰을 바라보는 의식을 치르는데 전력을 다했다. 평소의 일상에서 사라져버린 일출과 일출의 위대함을 여행지에 와서야 한번쯤 진지하게 대하는 것이 좀 생뚱맞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해를 향해 열심히 발길을 돌리지 않을 수 없었다.

  만달레이에서의 일정은 이랬다. 

택시 타고 선착장에 감→보트 타고 밍군에 감→택시로 만달레이 왕궁→택시로 산다마니 파고다, 꾸토도 파고다→택시로 쉐나도 승원→택시로 마하무니 파고다→택시로 사가잉 언덕→택시로 우베인 다리→택시로 숙소(9인승 승합차를 7~8명이서 60,000Kyat(약 6만원 조금 넘는다.)에 하루종일 빌려 탔다.) 이틀 정도 걸리는 일정을 하루에 다니느라 숨이 찼다. 사진을 보면서 천천히 음미해본다.

 

바간에서 만달레이로 가는 도중 휴게소에서 잠깐. 아마도 한국어를 배우자는 포스터일 듯.

 

우리나라 드라마가 미얀마 TV를 장악했다는 증거. 김수현 대단해.

 

만달레이 언덕.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다.

 

만달레이 언덕

 

만달레이 시내

 

밍군을 향해

 

밍군 파야

 

밍군 벨.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종이란다.

 

신뷰미 파야. 출산 중에 사망한 공주를 기억하기 위해 세운 파고다. 양파껍질 처럼 몇 겹의 물결로 둘러싸여 있는 매우 독특한 사원이다.

 

만달레이 궁. 겉모습은 뭔가 있어 보이나 그냥 영화세트장 같은 분위기.

 

불경 석판이 있는 산다마니 파야

 

쿠토퍼 파야. 돌에 새겨진 세계에서 가장 큰 책이다. 이 불경을 하루 8시간씩 읽는다면 이것을 다 읽는데 450일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런데 저 가운데 있는 아낙은 아랑곳하지 않고 설거지를 하고 있다.

 

이런 대리석판이 729개라고 한다.

 

쉐난도 짜웅. 목조 건물이라 시간이 흐르면 훼손될 운명인데 관람객들을 제한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머지않아 관람객수를 제한해야 할 듯. 앞으로 몇 년 후에는 이곳을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할 지도 모른다. 그래야 한다.

 

목공예가 매우 섬세하다.

 

마하무니 파야. 미얀마를 대표하는 성지 중 한 곳이라서 늘 사람들로 붐빈다. 불상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금박종이를 입히는 남자들이다. 여자들은 출입금지. 부처님이 금박 때문에 뚱뚱하다. 나중엔 형체가 남아 있을지 모르겠다.

 

 

 

사가잉

 

내용은 모르겠지만 미얀마어로 만든 예쁜 창살.

 

우베인 다리의 일몰. 각국의 여행자들이 이 일몰을 보기 위해 이곳으로 몰려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