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의 도시락

 

알라딘이 조금씩 싫어지고 있다. 얼마 전만 해도 상단에 있는 알라진 메인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국내도서, 외국도서, 전자책....등등이 보이면서 '영화'도 다소곳이 끼여 있었다. 그런데 어제 이 영화를 보고와서 몇 줄 끄적거릴까하여 밤 늦은 시간에 컴퓨터를 켜고 낯익은 친구같은 알라딘에 들어왔더니 '영화'라는 글자가 깜쪽같이 사라져버린 거다. 결국 이 곳에서 영화리뷰를 못쓰게 된 것인지 아니면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인지, 하여튼 리뷰대신 페이퍼를 쓰자니 갑자기 공간이 옹색해진 기분이다.

 

잘 나온 영화 포스터 구하기가 갑자기 어려워졌다. 그간 알라딘에 들어와서 영화제목만 검색하면 포스터가 단번에 나왔었는데, 아, 그건 이미 끝나버린 마술 같은 것이었다.

 

그럴 수 밖에 없을까. 연말에 책을 많이 구입하면 공짜로 주던 머그컵과 달력을 언젠가부터는 약간의 댓가를 지불해야만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어느날 문득 블로그를 살펴보니 원하지도 않는 북스토어 글자가 떡하니 들어와있질 않나, 드디어는 영화라는 메뉴마저 사라지게 되었다. 하기야 영화를 상영하는 것도 아니고 판매하는 것도 아닌데 공간만 차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겠지. 저간의 사정이야 없지 않겠지만, 그러면 얼마전까지 유지해온 건 뭔가. 혹 미끼 같은 건가?

 

인심이 점점 야박해져가는 알라딘이 그래서 조금식 싫어지고 있다.

 

 

어제 시내출장을 끝내고 귀가하다가 혹시나 아직도 상영중인가 싶어 cgv에 들렀다가 시간이 맞아서 인도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을 보았다. 평일 오후 2시대와 5시대에 상영하는 영화라서 보는 사람이 적을 수 밖에 없겠지만 그래도 그렇지, 나 포함해서 관람객은 전부 3명이었다. 영화의 흥미, 작품성 등등을 떠나서 이런 영화를 내가 계속 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확실해졌다. 나같은 사람이라도 봐줘야지 그렇지않으면 이런 인도영화는 수입조차 않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 영화는 소박함 그 자체다. 내용이나 형식도 그렇고, 경제적으로도 아마 몇 푼 들이지 않고 찍었음에 분명하다. 마치 대학의 졸업작품 같은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더 귀한 작품이지 싶다. 꼭 비싼 돈을 들여야 제대로 된 영화를 만드는 건 아니지 않은가.

 

돈이 되지 않는 것은 점점 외면당하는 세태에, 그 단면을 서서히 보여주는 알라딘을 보면서, 이 영화의 의미를 잠시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