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천의 개 - 삶과 죽음의 뫼비우스의 띠
후지와라 신야 지음, 김욱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후지와라 신야의 <인도방랑>을 1993년에 읽었다. 나는 아직도 저 수많은 인도여행기의 고전의 반열에 주저없이 이 책을 올려놓는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읽은 지가 오래되어서 기억나는 구절은 없지만, 그 누구에게도 빌려주고 싶지 않은 책이기에 늘 옆에 두고 있는 책이지만, 다시 읽지는 않았다. 그저 아련한 향수 같은 여운이 남아있을 뿐, 그런대도 이 책은 여전히 내게는 고전중의 고전이다.

 

그후 후지와라 신야라는 이름을 기억 속에 되뇌이고 되뇌이고는 했다. 그만큼 <인도방랑>의 영향력이 컸다. 근래에 들어 그의 책들이 여러 권 번역되어 읽어보기는 했지만, 글쎄 애정이 식어서 그런지, 워낙 여행기를 많이 읽어서 그런지 그리 크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지난 여름에는 그의 <아메리카기행>을 도서관에서 읽다가 다른 책에 밀려 도중하차하고 말았다.

 

그러다 이 책 <황천의 개>를 읽게 되었다. 학교 도서관에서 도서신청을 받는다기에 그동안 눈으로 점찍어두었던 70여 권의 책을 신청했는데 그중에 이 책이 들어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역시 명불허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970년대에 떠났던 그의 인도여행은 한세대를 대표하는 여행이면서 진짜 여행다운 여행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 이후 세대의 인도여행은 그저 아류에 불과한 여행이라는 쓸쓸한 확인을 하게 되었다. 삶 자체가 여행이었던 그에 비하면 나 같은 부류의 여행은 그저 관광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새삼 확인사살하는 셈이었다.

 

이 책의 내용을 말하기에는 내 눈과 머리가 벅차다. 내가 좀 더 친절한 성격이라면 좀 더 수다스러운 성격이라면 좋으련만...나의 한계다. 놓치고 싶지 않은 부분을 그저 옮길 따름이다.

 

p96...이 부유 감각은 현실의 무게에서 해방된 것 같은 감각이다. 디즈니랜드를 궁극형으로 삼고 있는 가상현실 공간에의 지향성이 미국 문화의 가자아 큰 특색인데, 이는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저 근세 유렵의 인습으로 가득한 무거운 현실의 탈출구로 만들어진 가상 국가이기 때문이다. 건국 역사가 200여년에 불과한 미국인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현실에서의 이탈이라는 역사적 강박관념에 시달리며 지상에서는 디즈니랜드와 같은 풍요로운 낙원을 구축하고, 공중에서는 우주 공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미국에서 발생한 가상현실 공간이 20세기 문화의 주체로 자부하며 일본에 침투했다. 그 공간을 향수하는 어린이들의 정신과 신체가 미국화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새롭게 등장한 환경이나 미디어의 소통 방식에는 미국이라는 나라가 무의식적으로 지향해온 가상화가 깔려 있다...나는 이렇게 등장한 환경이나 미디어와 접촉할 때마다 새로운 종교에 접근하는 것 같은 경계심이 작용하곤 하는데, 눈앞의 복합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p127...오늘날의 미국 영화들은 대체로 파괴를 주제로 삼고 있다. 미국 영화를 보고 있으면 자동차, 혹은 빌딩 같은 인간이 만들어낸 조형물이 무너지는 장면과 조우하게 된다. 이런 경향은 1970년대 말부터 현저해졌고, 1980년대에는 그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졌다....미국 영화를 관통하는 이 같은 파괴적인 잠재의식이야말로 미국 영화가 20세기 말의 젊은 층을 열광시키는 가장 큰 요소라고 할 것이다. 그 같은 파괴적 잠재의식의 확대는 폐색으로 일관하는 현실과 점차 심화되는 관리 시스템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는 일종의 카타스트로프 같은 소원이라고도 볼 수 있다. 구축과 파괴를 경쟁적으로 되풀이하는 미국 영화의 구도는 생산과 소비를 경쟁적으로 되풀이하는 미국형 자본주의를 닮았다. 그리고 이 끝없는 순환은 무간지옥을 연상시킨다. 현대인의 의식은 구축과 탕진의 무간지옥을 순례하도록 철저하게 개조되었다.

 

인용이 너무 길어져서 더는 못쓰지만, 이 책은 한때 일본을 경악하게 했던 옴진리교 교주에 대한 얘기가 길게 나와있다. 읽다보면 옴진리교 문제가 일본만의 문제로 그칠 것이 아니며, 앞으로 사회가 발전할수록 더욱 더 진화(혹은 퇴화)된 여러가지 해결 불능의 상활이 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인도방랑>에서는 미처 언급되지 않았던 인도여행의 진수를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흥미진진하지만 약간은 괴기한.

 

오늘, 몇시간 전 영화관에서 동료들과 함께 보았던 <미션 임파서블>의 잔영이 남아있는 지금, 다시 윗부분에 인용한 미국 영화 얘기를 고개를 끄덕이며 되새김질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