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쉬람 - Wat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인도 여성영화감독(꼭 이렇게 성별을 표시해야하나 싶지만)인 Deepa Mehta 작품이다. 사실 이 감독 이름도 지금 검색해서 알게되었다. 다만 예전에 보았던 <Fire>라는 영화를 만든 사람도 이 여성감독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Fire>도 인도영화하면 떠오르는 보통의 맛살라무비와는 다른, 페미니즘 성격의 영화였는데 이 영화 역시 그 범주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인도 영화의 큰 특징인 신파조의 줄거리나 성향은 유유히 그 중심을 흐르고 있는데, 솔직히 나는 이 신파조가 좋다. 나는 언제든 이 신파조의 영화에 눈물을 흘릴 준비가 되어있다. 

영화의 말미에 나오는 자막의 한 구절을 그대로 적자면 "200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도에는 3천 4백만을 넘는 과부가 있는데 그 대부분이 2천년 전에 쓰인 마누법전의 가르침을 따라 지금도 사회, 경제, 문화적인 결핍 속에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전통사회인 인도에서라면 10여년 전인 2001년이나 2011년인 지금이나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터, 영화 속의 여인들처럼 지금도 많은 과부들이 마지못해 '죽지못해' 생명을 이어가고 있을 것이다. 

그들의 고통스럽고 비참한 삶을 다룬 이 영화는 그래서 널리 알려져야하지 않을까. 

과부에게 재혼을 허락하지 않고 과부의 집에 격리시키는 이유를 묻는 말에 남자 주인공 나라얀은 이런 대사를 날린다. " 종교는 명목일 뿐이고 결국은 돈이에요." 결국은 입 하나 줄이기위해서라는 것이다. 종교적인 수행처인 아쉬람이 제목으로 쓰인 게 참 역설적으로 잘 어울린다. 근데 원제목은 water 이다.  아쉬람, 이 훨씬 더 잘 어울린다.

Deepa Mehta 를 기억해야겠다. 기존의 인도 영화와는 구별되는, 단순한 진리를 단순하게 드러내면서도 인도의 대중성이라 할 수 있는 신파조도 그대로 살리는 그녀의 영화가 참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