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을 걷다 - 모든 것을 내려놓고 홀로 떠나는 섬 여행
강제윤 지음 / 홍익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내게 돈이 많이 있다면 조그마한 섬을 통째로 하나 사서 나의 왕국을 만들면 좋겠다는 꿈. 나는 한때 이런 꿈을 꾼 적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지나간 나의 꿈이 떠올랐고 몹시 부끄러웠다.  

어쩌다 놀러 다니곤 했던 섬은 불편하기 그지 없었다. 무엇보다도 물이 아쉬웠다. 야영이라도 하게 되면 제대로 씻을 수 없어서 이내 불평불만이 터져나왔다. 그리고는 어서 빨리 섬에서 벗어나길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당연히 섬에서의 추억이라고 할 것도 별로 없다. 부족함과 불편을 참아낼 엄두도 못내면서 섬을 하나 사겠다니 도대체 이 무슨 황당한 꿈을 꾸었는지 모르겠다. 

누군가 이렇게 비현실적인 꿈 속을 거닐 때, 이 글을 쓴 강제윤이라는 분은 직접 두 발로 섬을 걷기 시작했다. 우리 나라에 있는 4400여 개의 섬 중에 유인도 500여 개. 10년 동안 이 유인도를 모두 걸어갈 예정이라한다. 지금까지 그는 100여 개의 섬을 걸었다고 한다. 이 책은 그간의 기록이다. 

여행이 일반화된 시대라 몇십 개국 여행은 이제 얘깃거리도 못되는 풍요의 세상에서 그의 고독한 섬 걷기 여행 기록은 나즈막하면서도 진지하게 마음 속으로 파고든다. 새로운 곳을 밟았다는 흥분이나 남이 가보지 못한 곳에 갔다는 자랑 같은 것은 이 책에서는 찾을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여행기나 기행문과는 거리가 멀다. 

섬이 죽어가고 있다. 죽어가는 섬을 지키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노인들뿐이다. 이 분들이야말로 진정한 생애의 스승이고 나침반이라고 저자는 쓸쓸하게 말한다.'세계의 어느  길에서도 나는 이 나라 섬에서 만난 노인들보다 더 훌륭한 스승을 만나기는 어려울 것이다.'라고. 

(104) 강한 군사 집단이 이웃 나라를 침략하여 노략질을 하고 땅을 빼앗고 백성들을 노예로 만드는 것이 해적질과 무엇이 다를까. 역사가들은 이를 정복이란 이름으로 미화하기도 하지만 해양 왕국의 역사가 바로 해적의 역사다. 먼저 세력을 키워 나라를 세운 해적 두목은 왕이 되고 뒤에 나타난 세력은 해적으로 이름이 남겨졌을 뿐이다.....중국에서는 '관리가 되려면 먼저 도적의 수령이 되라'는 격언이 있을 정도였다. 그 격언은 여전히 이 시대 이 땅에서까지 통용된다...이 땅의 정치인들이 나라를 거덜 내는 도적질만을 일삼는 것은 그들의 뿌리가 도적의 뿌리와 같기 때문이다. 

(199) 우리는 모두가 슬픔의 후예다. 우리는 모두가 고난의 후예다. 슬픔과 고난을 견디고 살아남은 자들의 후예다. 그 모진 세월을 견디고 살아남기란 진실로 희귀한 일이다. 살아남은 자들의 후예로 살아 있다는 것은 마침내 기적 같은 일이다. 살아 있는 것이 기적인 삶이여! 

(210) 기도란 무엇일까? 내 안에 신이 있고 내 안에 불성이 있다면 기도란 내 안의 부처와 신에게 기원하는 것이 아닐까. 기도하는 것도 나고 소망을 이루어 주는 것도 나다. 그러므로 기도처에서의 기도는 소망을 이루기 전에 자기 스스로를 인간 정신의 높은 곳으로 이끄는 고귀한 행위다. 정신의 고양을 통해 스스로 신과 불보살의 경지에 이른 다음에야 나는 나의 기도를 이루어 줄 수 있다. 그런데 그런 기도를 누군가 대신 해준다면 그것도 기도라 할 수 있을까? 

내 안에 있는 쓰레기 같은 못된 것들을 제대로 살펴볼 수 있어서 한 편으로는 아픈 책이다. 그러나 더욱 아파할 일이다.  

우리 나라의 섬을 다 둘러본 저자의 목소리를 언젠가 다시 듣고싶다. 그때도 지금처럼 아프다면 나는 분명 세상을 잘못 살았을테지만.... 

사실이 너무 잔혹하지 않고 꿈이 너무 비현실적이 아닌 나라에서 살았으면...버나스 쇼가 했다는 이 말에 다시 먹먹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