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오전부터 내리는 비가 추적추적 계속 내리고 있다. 혼자였다면 그냥 집으로 곧장 가련만 옆에는 늘 걸어 다니는 민선생이 있다. 1/3 정도만 같은 길을 걷다가 나머지는 각자 방향이 남북으로 갈리는 반쪽짜리 길동무이다.  

까짓거. 우산도 있겠다, 바람막이 옷도 입었겠다, 비 맞으며 걸어보는 것도 오랜만이네, 하며 호기있게 생태공원으로 향했다. 그런데 왠걸. 비바람이 만만치가 않다. 우산살이 거칠게 휘어지며 바람에 저항한다. 여기서 방향을 틀면 곧장 집으로 갈 수 있는데, 마음이 약간 흔들린다. 그러나 길동무 덕에 다시 걷기에 충실해진다. 이 못말리는, 그러나 좀 미련한 착실성! 

얼마 후 낚시터로 향하는 언덕 길. 저 앞에 하얀개 한 마리가 서 있다. 평소 개를 몹시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민선생은 벌써부터 안색이 불편해 보인다. 걸죽한 입담으로 사람을 들었다 놓았다 하는 그녀도 개에게는 한없이 약한 존재다. 혼자 보기 아까운 얼굴이다. 

개가 우리 옆으로 오더니 우리 얼굴을 바라보며 종종 거리며 따라 붙는다. 우리를 향한 적의는 없어 보인다. 여느 집에서 기르는 개처럼 우리를 향해 짖어대지도 않는다. 그저 무표정한 얼굴로 우리 가까이에서 그리 빠르지않게 왔다갔다하며 무언가 요구하고 있는 듯하다. 왜 그러니, 개야. 우리 좀 그냥 가게 해주라, 제발.  

그리 위협적이지 않아서 그냥 가던 길 계속 가는데 어디선가 깨갱거리는 강아지 소리가 들린다. 자세히 보니 폭이 60~70여 센티미터되는 수로에 어린 강아지 한 마리가 빠져서 발이 물에 잠긴 채 오도가도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 그랬었구나. 새끼 구해달라고 어미개가 우리에게 말을 걸고 있었던 거구나.  

새끼를 도로 위에 올려 놓는다. 자, 됐다. 엄마랑 함께 가거라. 그런데 새끼는 그 자리에 그대로 서 있고 어미개는 계속 우리를 따라온다. 왜, 따라와? 새끼 데리고 집으로 돌아가란 말이야. 20여 미터를 멈칫 멈칫 따라오던 어미개는 계속 끙끙대는 새끼 때문에 우리 뒤를 따라오기를 그만둔다. 그러나 새끼에게 곧장 달려 가지도 못하고 엉거주춤 어쩔줄 몰라한다. 저 어미개도 어디가 아픈가. 아니면 가문이 있는 개인가. 행동이 신중하고 매우 점잖다. 

더 이상 도와주지 못해 미안하구나, 어미개야. 개들은 물을 몹시 싫어하는 데 비마저 맞고 떨고 있으니, 어쩐다니. 새끼가 아무래도 다친 모양인데....무정한 인간들 같으니라구.... 

 

오늘은 작정하고 한 학부모에게 전화를 했다. 엄마, 아빠의 이혼과 각자의 재혼으로 누나와 함께 단둘이 살고 있는 녀석의 엄마에게 그동안 벼르고 있던 말을 했다. 학교에서의 아이의 모습을 제대로 본다면 아마도 억장이 무너지실거라고. 의기소침, 거짓말, 무력감, 학습의욕 바닥. 쾡한 눈망울. 특히 그 무력감을 어머니도 보셔야한다고 했다. 공부에서 손을 놓은 모습입니다, 어머니. 아직은 절대적으로 보살핌이 필요한 나이입니다. 혼자 밥 해 먹을 수 있다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지 않습니까. 전화기 저 너머로 엄마되는 사람의 억장이 무너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책임을 지시란 말입니다, 까지는 말하지 못했다. 

다시 퇴근길. 60여만 평이 넘는 생태공원에는 사람이라고는 나 혼자다. 허기사 이런 날 누가 비 맞으며 운동하러 나오나. 시베리아를 걸어서 횡단하는 사람을 인터뷰한 텔레비전 장면이 떠올랐다. 가장 무서운 게 무엇입니까. 야생 동물보다도 사람과 맞닥뜨리는 게 더 두렵습니다. 장비와 비상 식량을 탈취해가면 제 횡단 여행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거든요. 

끙끙대는 새끼에게도 선뜻 달려 가지 못하고, 혹시나 도움을 받지 않을까 인간에게서도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저 어미개의 머뭇거림이 긴 여운을 남긴다. 전화기 너머의 한 어머니의 숨죽인 흐느낌이 또 긴 여운을 남긴다. 

비바람 쯤이야 바람막이 쟈켓과 우산으로 가리면 된다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