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북부지역의 사파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프랑스인의 휴양지였던 곳이라한다. 인도 북동부의 다르질링이나 남인도의 우띠가 영국 지배자들의 휴양지로 개발이 되었던 것처럼 말이다. 식민지를 개발했던 이들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여러가지로 착취의 손길을 뻗어갔다. 더울 땐 풍광 좋고 시원한 곳을 찾아 별장을 짓고 지배자로서의 호사를 마음 껏 만끽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그렇다치고 이런 식민지 시절의 휴양지를 찾는 사람들은 또 뭔가. 이런 곳을 특히 유럽인들이 많이 찾는 것은 또 어떻게 생각해야할까.(사파로 향하는 미니버스 앞자리에는 프랑스일가족 5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 이들과 전혀 관계없는 나 같은 부류는 또 뭔가. 미니버스에 구겨진 채로 가다보니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들었다.
이곳의 원주민은 흐몽족이라고 불리는 소수민족이다. 인디고 불루라고하는 검정에 가까운 청색의 아마포로 된 옷을 입고, 모자를 쓰고, 정강이에는 천을 감은 흐몽족 사람들의 특이한 점은 이런 소수민족 복장이 아니었다. 배낭처럼 어깨에 멘 원통형의 바구니도 아니었다. 까무잡잡하고 순박하게 생긴 얼굴도 아니었다. 바로 작은 키였다.
성인 평균의 키가 150 cm가 될까? 남녀 모두 작으니 남녀 차이도 별 의미가 없을 것처럼 그들의 체구는 왜소하고 작다. 흡사 소인국에 온 것 같다. 라이스테라스라고 하는 계단식 논을 일구며 척박하게 살다보니 그런 것일까.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산악지역에서 살다보니 그런 조건에 적응하도록 진화가 된 것일까. 오래전 <조선일보>에 <이규태코너>라는 고정 칼럼에서 읽은 글이 기억난다. 미래에는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및 에너지 부족으로 인류의 키가 작아져야만이 인류가 공존할 수 있다며 그 적정 신장을 150 cm로 잡는다, 는 내용이었다. 이 작은 키의 인류를 "미래형 인간"이라고 불렀다. 그렇다면 이곳 흐몽족이 미래형 인간에 꼭맞는 사이즈일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들을 보면서.
내 여행 필수품 목록에는 여권, 돈 다음으로 찜질팩이 들어있다. 등허리 만한 크기에 전원을 넣으면 금방 따끈따끈한 아랫목이 되어 주는 믿을 만한 여행동무, 찜찔팩. 남편은 한술 더 뜬다. 그냥 여행 용품이 아니라 여행 의료 용품이라고. 추위는 물론 배가 아프거나 어깨가 결릴 때도 한 역할 톡톡히 하는 데 그뿐만이 아니다. 양말이나 속옷 따위를 말릴 때도 여간 요긴한 게 아니다. 4단계로 되어있는 온도를 최대한 올려서 양말이나 속옷을 올려놓고 큰 수건으로 지긋이 덮어 놓으면 하얀 김이 모락모락나면서 빨래가 솔솔 마르기 시작한다.
이곳 베트남에서야 뭐 쓸 일이 있을까 싶어 가져올까 말까 망설였는데, 웬 걸 가는 곳마다 요긴하게 쓰일 줄이야. 중부 지방의 호이안이나 후에는 낮에는 더워도 밤에는 등허리가 서늘해서 가져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으니까. 그러던 것이 정작 필요한 사파에서 그만 고장이 나버렸다. 과열이었다.
시종일관 추적추적 내리는 부슬비와 안개 때문에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깟깟 마을만 겨우 다녀올 수 있었다. 별달리 유흥거리가 있는 것도 아닌 산골 동네에서 동네 산책마저 막혀버리니 정말 할 일이 없다. 유명하다는 박하 일요시장은 아예 폐장이란다. 명절 때문이라나. 전기 히터를 켜놓아도 으슬으슬 추운데, 그동안 내 등과 가슴을 덥혀주던 찜찔팩은 저세상으로 떠났고, 안개 속에 푹 묻혀버린 동네는 갈 데가 없고, 기껏 마음 먹고 들어간 피자집은 불친절+최악의 맛+비싼 가격으로 이방인을 비웃고, 이런 걸 두고 설상가상이라고 해야하나.
그마나 깟깟마을은 아기자기하게 산골의 맛을 느끼기에 좋았고 오가는 길도 흥겨워서 이것 하나만으로도 만족하자며 위안을 삼았다. 쓸쓸한 위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