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 한 알 -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
최성현 지음 / 도솔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무위당 장일순에 대해선 말만 많이 들었지 제대로 읽은 책 한 권이 없었다. 근접하기 어려운 분이라 생각하고 지레 겁 먹은 채 거리를 두고 있었다. 물론 이 책의 존재도 알고는 있었다. 선입견 앞에서 그저 망설이고 있었다. 다행히 지난번 원주 터득골에서 주인장의 말씀을 듣고 이 책을 손에 들게 되었다. 주인장은 직접 이 책을 기획하신 나무선이라는 분이셨다. 전국을 샅샅이 뒤지며 장일순에 대한 일화를 어렵게 수집해서 지은 책이라는 말씀에 이제는 더 이상 회피해서는 안되겠다 싶었다. 그래, 읽자.

 

일화로 엮은 책이다보니 생각보다 책은 쉽고 재미있다. 장일순이 어떤 분이었는지도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중 몇 대목을 옮겨본다. 장일순은 민주화운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목이지만 인간적인 매력이 넘치는 분이라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합기도 도장을 운영하는 김진홍이 지학순, 장일순과 함께 치악산으로 바람을 쐬러 갔던 어느 날이었다. 가는 길에 상원사란 절이 있어 거기에 들렀는데, 대웅전 안의 불상을 향해 장일순과 지학순이 합장을 하고 공손히 절을 했다! 지학순은 천주교 원주교구의 주교고, 장일순은 평신도다. 김진홍이 이상하게 여기고 물었다.

"천주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어째서 불상을 보고 절을 해요?"

장일순이 껄껄 웃었다.

"이 사람아, 성인이 저기 앉아 계시는데 어찌 우리 같은 소인이 허리를 굽혀 절을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173쪽

 

나는 아직 내 주변에서 이런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불상은 우상이라고 절대 그 근처에도 가지 않는 사람들을 봐왔을 뿐이다.

 

상을 받고 나서 자신을 찾아온 이형만에게 장일순은 이렇게 말했다.

"상 받았다고 껍죽대지 마. 그러면 죽어."

그 한마디뿐이었다. 다른 말이 일체 없었다.

재주 있는 사람들에게 장일순은 늘 말했다. 기어라. 겸손하라. 엎드려 살아라. 앞에 나서지 마라. 모가지 세우지 마라.     -181쪽

 

가슴이 뜨끔해지는 말씀이지 싶다.

 

그 책(논어)을 채희승은 십 년을 읽었다. 그러나 두 시간 가량에 걸친 장일순의 논어 강의에서 얻는 기쁨이 십 년 공부를 뛰어넘었다. 정말 혼자 듣기 아까운 내용이었다. 그 마음을 채희승은 이렇게 나타냈다.

"선생님, 꼭 책을 쓰십시오. 그렇게 해야 선생님의 훌륭한 말씀을 여러 사람이 들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장일순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그건 말이지. 엄청난 일을 해놓고도 아무 흔적 없이 사라지신 분들이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지 니가 몰라서 하는 말이야."       -183쪽

 

책을 쓰지 않고도 책으로 남아있는 사람들. 앞 선 사람들이다.

 

이화여대 교수이자 <미래에서 온 편지>의 지은이로도 유명한 정현경이 물었다.

"불교에서는 좌선을 한다거나 하고, 기독교에서는 기도도 하고 금식도 하고 그러는데, 선생님은 어떤 방법으로 자신을 닦습니까?"

"주로 혼자서 걸어요. 밖에 나가서 사람을 만나 술도 마시고 이야기도 하다가 돌아올 때는 대개 강가로 난 방축 길을 걸어서 돌아와요. 방축 길을 걸으며 '오늘 또 내가 허튼소리를 많이 했구나.' 하고 반성도 하고. '이 못난 사람을 사람들이 많이 사랑해 주시는구나.'하고 감사도 하고 그럽니다.

또 길가로 풀이 나서 자라는 걸 보는데, 그 풀들이 절 일깨우지요. 풀은 땅에 뿌리를 박고 밤낮으로 해와 달을 의연히 맞고 있단 말이야. 난 거기에 못 미치지요. 부끄럽지요. 이렇게 풀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습니다. 마음을 씻는 거지요."       -226~227쪽

 

풀 한 포기에서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 그걸 몸으로 실천하는 사람. 장일순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인용만으로도 배가 부른 리뷰.

 

마지막으로 하나 더.

 

장일순은 여자 관계에서 놀랍도록 깨끗했다. 오직 아내만 알았다. 혹시 어디 숨겨진 이야기가 없을까 찾아보았지만 어디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224쪽

 

아무렇지도 않게 이런 말을 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 얼마전까지도 말이다. 이 말을 뒤집으면, 내노라 하는 남자들은 대개 여자 관계가 있고 그게 흠이 되지도 않는다는 말이다. 여자 관계가 없는 사람이 있다는 게 놀라울 뿐이다. 그런 시대착오적인 시절에도 깨어있는 사람은 있었고 그 당연한 몸가짐으로 존경을 받았다는 사실이 오늘 같은 날에 좀 씁쓸하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