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에 턱하니 빨간 날이 있는 이번 주는 착한 주다. 주5일도 벅차니... 도대체 살아갈 능력이 있는 것인지 가끔 숨이 턱턱 막히곤 한다.
주5일,6일이라도 8시간 노동만이라도 지키면 좋겠다.
로쟈님의 서재는 매일 아침 출근 전 새벽에 대충이라도 훑고 나가는데 오늘 와우북페스티벌 관련 글을 보다 장정일의 옛 소원- 하급 공무원이나 되어... 일찍 퇴근해 침대에 드러누워 새벽 두시까지 책을 읽는 생활을 하고 싶었다는-에 대한 문구를 발견하고 껄껄 웃었다.
하급공무원까지는 몰라도(그들이 그러는지는 몰랐기 때문에) 집에 돌아오면 일 생각이랑은 전혀 하지 않고 읽고 싶은 책들 사서 옆에 두고 졸음 올 때까지 읽고 또 출근하고... 뭐 그런 생활을 꿈꿨고 어찌어찌하여 지금 일을 선택할 때도 그럴 수 있기를 바라며 많은 걸 버렸다. 그런데 그런 꿈같은 생활을 하기 위해선 갖춰야 할 조건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하나는, 성격이 뭐랄까 ... 너그러워야 하고, 자신에 대해서... 또, 욕심이 없어야 한다. 자신의 소망에 충실할 수 있는 강단이 있어야 한다. 강단을 바라지 않는다면 원래 그렇게 무심한 사람이어야 한다.
책을 읽으려 노력한다기 보다는 책을 읽지 않는 일상을 어떻게 견딜 수 있을지 나는 잘 모르는 사람이다. 책이, 책 읽는 시간이 내게는 안식이고 휴식이다. 물론 책 들고 있어도 생각은 다른 곳에 있을 때도 많지만, 어쨌든 ...
요즘은 일 때문에 필요한 각종 산업관련 책이나 자료를 읽는 날이 많고, 그것도 재밌다.
로쟈님의 서재에서 읽고 싶은, 그 보다는 읽을 수 있는 책을 요즘은 잘 찾는 편이다. 진짜 취미가 독서가 된 셈인가? 그리고 주말에 다시 보기로 보는 TV,책을말하다의 책들.
문장이 좋다길래. 진수성찬. 그러나 ...

다 읽지 않고 덮었다. 교수님껜 대단히 죄송하지만, 계속 읽는 건 시간낭비라는 생각이 들었다.

로쟈님 덕분에 로버트 카플란이란 저널리스트를 만났는데 그에 관한 첫 책.마키아벨리와 이사야 벌린의 글로 시작하는 데서 이 사람의 성향을 알 수 있었다. 두 사람 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라...
그리고 갑자기 김훈 때문에 마크트웨인을 집다.


책들을 많이 읽을수록 책읽기의 속도나 이해도 쉬워진다. 월요일을 위해 자러 간다.오랫만에 서재를 찾았다.즐겨찾기 해 주신 세 분, 그 분들도 행복한 책읽기 계속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