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들이 죽었습니다 - 아들이 살해당한 후, 남은 가족의 끝나지 않은 고통을 추적한 충격 에세이
오쿠노 슈지 지음, 서영욱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과 출판사 설명만 봤을 때 너무 가슴 아플까봐 걱정했다. 슬퍼서 울까봐서. 그러면 너무 감정에 치우쳐 제대로 읽지 못할텐데 하는 마음이 들었다. 기우였다. 작가는 너무 담담하게 피해자 가족의 이야기를 적고 있다. 그 너무 담담함이, 살기 위해서만 아니 와해되지 않기 위해 기를 썼던 아버지와 어머니와 딸의 30년 동안의 이야기가 눈물도 나지 않게, 정신 똑바로 차리라고 말하는 듯 그렇게 전해졌다.

우리 외할머니는 한국전쟁때 막내 외삼촌이 인민군에 의해 납북되는 일을 겪으셨다. 그 뒤 연이어 큰 외삼촌 돌아가시고, 가운데 외삼촌까지 돌아가셔서 아들 모두를 먼저 앞세우셨다. 그러고 여든 여섯까지 사셨으니 그 마음이 얼마나 애닳았을까 짐작만 할 뿐이다. 엄마는 생일날만 되면 생사를 알 수 없는 막내 외삼촌 얘기를 하신다. 엄마 생신 다음날이 외삼촌 생신이다. 그 그리움의 세월이 육십여년이 되어간다.

아들이 죽는다는 게 어떤 건지 모른다. 부모가 아닌 나는 그 마음을 모른다. 그것도 살해되어 어린 나이에 가슴에 묻어야 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짐작조차 안된다. 아마도 할머니가 살아 생전 외삼촌 그리던 마음, 자식 죽었다고 혼절하셨다던 그 심정과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뿐이다.

자식이 죽어 한 집안은 30년이 흐른 지금까지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엄마는 정신을 놓기까지 했고, 어린 딸은 오빠의 부재에 울지도 못한다. 아버지는 그런 가족때문에 정신을 추스르려 애를 쓰지만 아들이 죽을 때 찬 손목 시계를 죽는 날까지 손목에 차고 있었다. 아들 생각이 날까 미칠 것 같아 가해자에 대한 복수는 생각도 못했다고 한다. 아들 생각도 슬픔이 복받쳐 가족간에 말하지 않고 살았다고 한다. 복수도 생각할 수 없는 비통한 슬픔이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런데 가해자는 어떤가. 변호사가 되었고 사과 한번 없었고 전화를 하니 돈이 필요하면 빌려 주겠다는 말만 한다. 갱생을 위해 소년원에 넣었고 전과를 남기지도 않았는데 이 모습 어디에서도 갱생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이게 인권이라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자꾸만 든다. 피해자의 여동생은 30년이 지난 지금도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의 인권은 없는 것인가?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얘기다. 법은 누구를 보호하고 있는가를 말이다.

최소한 가해자나 가해자 부모는 죄송하다거나 미안하다거나 하는 사죄는 해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잘못을 해도 잘못했다고 가르치지 않는 건지 그런 마음 자체가 없는 건지 유감이 대세라 그런가 유감이라는 말만 있고 사죄는 사라진 것 같다. 아이들이 서로 싸워도 미안하다고 하며 크는 거 아니었나? 이런 점에서 픽션이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편지>속 가해자의 사죄는 오히려 크게 다가온다. 그게 갱생의 시작이다.

마음없는 갱생, 피해자에게 용서받지 못한 갱생, 아니 노력조차 하지 않는 갱생이라는 이름의 허울뿐인 법과 가해자는 증발하고 피해자와 그 가족만 남아 그 상처를 알아주는 이 없이 살게 하는 일은 이제 없어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소년법과 인권,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해 국가와 사회는 더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작품이 참 감정을 절제한 느낌을 준다. 논픽션이고 작가가 희생자 가족의 이야기를 옮긴 것이라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그보다는 아직 아픔이 남은 이들이 감정을 드러내는데 소극적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건 직후 머리가 하얘지고 지금도 장례식장에서 있지 못하는 어머니와 이제는 돌아가신 아버지, 남이 빤히 쳐다보면 몸이 떨리는 여동생의 모습에서 치유의 길은 너무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이들은 더 많아지리라는 생각도... <내 아들이 죽었습니다>라는 제목이 <내 사회가 죽었습니다>로 울린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08-05-16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책 안읽어 봤지만 어디선가 리뷰를 본것 같네요.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가해자 인권도 중요하지만 피해자 인권이 더 중요한것 같은데 아무도 피해자 인권을 신경쓰지 않는것 같더군요.누구 말마따나 죽은놈만 억울한 것이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가해자에 대한 형사적 처벌도 중요하지만 민사적 처벌도 병행되야 한다고 생각해요.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금전적 손실은 누가 보장한단 말입니다까???
미성년자인경우 당연히 그 부모가 배상을 해야되고 성년자의 경우 그 재산을 처분해서 배상을 해야된다고 여깁니다.
흠 만약에 재산이 없다면 ○○노역을 시켜서라도 돈을 벌게해야겠지요^^;

물만두 2008-05-16 12:15   좋아요 0 | URL
제 생각도 그런데 이 작품에도 나오지만 합의금이 있는데 주지 않으면 소송해야하고 자식과 돈이라는 점이 참 애매해서 이건 국가가 알아서 처음부터 피해자 가족들이 신경쓰지 않도록 해결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제는 가해자는 점점 뻔뻔해지고 있는 것 같고 피해자는 더 소외되는 감이 들어 그게 더 큰 문제같아요.

순오기 2008-05-17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리뷰가 너무나 가슴을 울립니다~~~~ 우리가 이런 사회에 살고 있다는 실감이 확 일어나는 슬픔이요.

물만두 2008-05-17 13:56   좋아요 0 | URL
부모님들은 더 슬프실 것 같아요. 걱정도 많이 되시구요.

딸기 2008-05-20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 리뷰가 리뷰처럼 안 읽히고, 그냥 마음을 울리네요.
혜진 예슬양 사건 보면서... 딸 키우는 부모로서, 생각만 해도 마음이 진정 안 될 정도였어요. 대체 그 아이들 부모는 어떤 심정으로 살까, 내가 그런 처지라면 과연 '정상적으로' 세상 살아갈 수 있을까...

참, 정답이 없는 문제같아요.

물만두 2008-05-20 17:14   좋아요 0 | URL
그런 일은 없어야 하는데 그나마 최소한의 사회가 도의적 성의는 보여도 좀 나을까 말깐데 답답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