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영화다 - Rough Cu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생활기반 자체가 전혀 다른 두 사람이 존재한다.
한 사람은 영화라는 발판을 무대로 출세를 했고, 그에 걸맞은 명성이라는 날개를 달고 살아가는 배우이며, 다른 한 사람은 어둠의 법칙이 통용되는 건달, 깡패바닥에서 그래도 성공한 축에 속하는 인물이다. 어떤 계기로 이 둘이 마주치게 되었고 체스 판의 전황처럼 그들은 서로 장군과 멍군을 부르며 서로의 교집합적인 모습이 노출되어진다. 



영화배우 장수타는 업계 거칠기로 소문난 배우. 과도한 폭력이 주제가 되는 조폭영화에 출연하는 액션배우이며 그의 이런 연기는 실생활에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어진다. 하지만 그의 본업은 연기일 뿐, 폭력으로 밥을 벌어먹고 사는 깡패나 조폭은 아니다. 그런 그가 우연히 시비가 붙은 조폭 강패와의 만남으로 자신의 세계에서 한발자국 더 내딛는 위태한 행보를 시작한다. 가짜가 아닌 진짜 냉정한 폭력의 세계에 발을 들여 논 것. 



조폭 강패는 사람 목숨 하나 우습지도 않게 바다에 처넣을 수 있는 냉혈한 건달. 조직을 위해 생활하고 자신의 수하 역시 믿음의 눈길을 보내지 않을 정도로 그 바닥에선 나름 위치에까지 올라있다. 강패는 영화배우 수타를 만나며 꿈으로만 꿔 봤을 배우라는 경계를 넘어선다. 영화배우 수타와는 전혀 다른 반대편에서 중간쯤 어딘가에서 경계와 경계가 부딪힐 그 곳으로 걸어 나간다.

영화 속 허상의 폭력과 현실의 무자비한 폭력의 만남은 수타와 강패라는 두 사람의 대립적인 인물의 갈등으로 점점 수위를 높여가며 영화가 진행되어 간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기반이 다르듯 마주 서 있는 자체만으로 반목하며 충돌한다. 그런 그들에게 서로의 영역을 넘어서며 자신의 생활을 점차적으로 희석시킨다. 그러나 그 모든 과정이 결국 일장춘몽 일뿐 그들이 공존했던 그 공간은 결국 현실과의 괴리감을 남기며 산산이 부서지며 영화는 끝을 맺는다.

영화 속 조폭이 등장하는 줄거리는 이제 식상한 소재임에 틀림없다. 그들의 협객스런 면모만 강조하며 엄청난 흥행수입을 올렸던 관객수준 여실히 보여주는 영화도 있었고, 느와르의 장르를 충실히 답습하며 보는 사람의 시선이 불편할 정도의 여과 없는 현실을 묵묵히 보여줬던 영화들도 존재했었다. 이 영화 역시 이런 두 가지 부류의 구분으로 따지면 후자 쪽에 가까운 영화라는 분류가 가능하다. 하지만 진부했을 소재에 그게 다가 아닌 또 하나의 덩어리를 제대로 끼워 넣어 영화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가상의 영역, 영화를 영화 속에 집어넣고 대립적인 두 인물의 숨겨진 그림자와 같은 영역을 서로에게 부여함으로 모든 면에서 만족스런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  



극중 라스트 결투 씬 중 영화 속 영화감독으로 등장한 조연배우의 대사 ‘감독으로써 내 배우들을 끝까지 믿는 것.’ 이란 말이 두 배우를 보면 그냥 나올 수 있어 보인다.

뱀꼬리 : 제작자의 이름도 유심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호인 2009-02-24 1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술적인(?) 제목에 끌려 보고싶다가도 이미지스킨으로 인해 극히 폭력적일 것 같다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손이 가지 않는 영화였습니다.

Mephistopheles 2009-02-24 14:04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제작자가 김기덕감독이다 보니 그가 직접 감독을 하지 않더라도 그의 영화에서 보여줬던 폭력은 어느정도 영화에서 표현이 되어질껍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장르가 느와르다 보니 표현의 수단의 한 방법으로 폭력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그래도 영화는 잘 만들어졌습니다. 배우들 연기도 좋고요.

레와 2009-02-24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간지의 매력에 푹-빠져 스크린 안으로 뛰어들뻔한..
정신을 못차렸던 기억이 납니다. 으흐흐~

Mephistopheles 2009-02-25 12:38   좋아요 0 | URL
소지섭씨는 그래도 일단 뜬 스타인데...저런 저예산 영화에 출연하는 모습이 신선했다고 할까요..아님 김기덕의 영향일지도 몰라요. 김기덕 감독의 영화가 마니아적인 요소가 강한데도 그의 영화엔 그래도 배우라고 불리우는 스타들이 등장들 하니까요. 장동건도 그렇고..^^

노이에자이트 2009-02-24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길쭉길쭉한 형님들이 시원시원하게...좍 좍!!!

Mephistopheles 2009-02-25 12:39   좋아요 0 | URL
소지섭이야 워낙 매력있는 배우인걸 알고는 있었다지만...강지환이라는 배우도 연기 참 잘하더군요..^^ 그리고 한동안 안보이셨던 홍수현씨도 봐서 좋았습니다.^^

노이에자이트 2009-02-25 23:13   좋아요 0 | URL
홍수현 누나가 이쁘지요.<번지점프를 하다>에서 여고생으로 나왔을 때 눈에 띄더라구요.

Mephistopheles 2009-02-26 09:26   좋아요 0 | URL
예쁘장한 외모와는 다르게 굉장히 괄괄하고 터프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하더군요..^^

노이에자이트 2009-02-27 23:17   좋아요 0 | URL
수현 누나에 대한 그런 정보는 어디서 구하시는지...가르쳐 주세요.

Mephistopheles 2009-02-27 01:27   좋아요 0 | URL
수현누나가 옛날 TV 토크쇼 프로에 나와서 이런저런 토크를 할때 스스로 말했답니다. 드라마에서 보여줬던 모습과는 다르게 털털하고 터프하게 이야기도 하고 성격도 스스로 밝히더군요.^^

노이에자이트 2009-02-27 23:17   좋아요 0 | URL
오...외모와는 다르군요.

비로그인 2009-02-25 0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지환을 처음 본 영화가 <방문자>였는데 그 영화에선 반듯한 청년이었는데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것 같아요.

Mephistopheles 2009-02-25 12:41   좋아요 0 | URL
배우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면 아무리봐도 변화는 필수일 것 같아요. 매일매일 엽기적인 여자의 이미지와 몸매와 이쁜 외모만으로 줄창 CF만 찍어대는 사람이 절대 배우라고 불릴 수 없잖아요. 그런 의미로 이번 영화는 강지환씨의 변신과 소지섭의 연기폭이 넓혀졌다는 것에 큰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물론 김기덕 감독의 제작자 변신도 눈여겨볼만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