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도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미와 아랑의 사랑 얘기는 전설처럼 내려왔는데, 최인호씨가 이 글을 썼다고 해서 조금 놀라웠다.  그의 선 굵은 다른 저작물들과의 괴리감 때문이었다.  그래서, 호기심이 일었다.  이 짧은 페이지 안에, 그는 무엇을 담아내었을까 하고.

뚜껑을 열어보니, 너무 평범해서 놀라웠다.  전설로 내려오던 그 이야기 이상도 이하도 아닌, 무엇을 위해서 굳이 이 책에 "몽유도원도"라는 제목을 붙여서 책을 냈는지 잘 납득이 가지 않았다.  내가 알아차리지 못한 중한 무언가가 있는 것일까?

그렇게 생각해 보니, 이 역시 선입견이 불러낸 과도한 기대치가 아닐까 싶어졌다.  그냥 어깨에 힘 빼고, 가볍게, 그러면서도 소탈하고 진지한 이야기를 옛 이야기 들려주듯 정감 있게 얘기하고픈 것이었을 수도 있는데, 지레 짐작으로 큰 기대를 하고 먼저 실망했던 것은 아닐까...

사실, 옛 이야기에서 남녀의 평등이라던가, 상하 관계의 평등 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의 기준으로 볼 때는 납득 안 가는 것도 많다.   그래서 또 '신' 도미와 아랑 이야기.. 뭐 이런 걸 내심 기대했을 수도 있지만, 이 이야기는 그냥 도미와 아랑의 이야기일 뿐이다.

두 나라가 서로 싸워 한 나라가 이겨버리면 이긴 자의 역사는 승자의 것이기에 미화되고, 패자의 역사는 더 가혹하게 난도질 당하기 마련이다.  백제의 역사가 그리 되었을 테지.  그래서 패한 백제의 왕은 보다 추악하게, 게으르게, 형편없는 군주로 묘사되지 않을까.  그래서 나는 또 새롭게 해석한 비운의(?) 백제 왕 이야기... 뭐 이런 걸 공상하기도 했던 것 같다.(오버였지..ㅡ.ㅡ;;;)

도미는 아내를 믿었고, 아랑은 남편과의 신의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또 지혜로운 여인이었지만, 제 목적을 위해 하녀를 희생시킨 것은 아무래도 우리가 봐줄 수 없는 부분이다.  그녀는 자신의 미모로 인해 벌어진 비운을 탓하며 스스로 얼굴을 망쳤지만, 도미는 이미 눈이 멀어 그런 그녀의 달라진 모습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두 사람은 여전히 행복하게 잘 살았노라... 이렇게 마무리 짓는데, 눈이 보이는 도미였다면 어땠을까? 라고 삐딱한 생각이 삐져나왔다..;;

몽유도원도.. 꿈속에서 본 낙원의 모습.  그러나 깨고 보면 한낱 허망한 꿈일 뿐... 아랑과 도미를 통해서 작가는 무엇을 말하려고 했을까?  개로왕이 미모의 여인을 탐한 헛된 미망을 꾸짖는 것일까?

대체... 모르겠다.  이렇게 가볍게 읽은 책에서 이토록 머리가 무거워져야 하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