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의 연구 - 일본을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하여
야마모토 시치헤이 지음, 박용민 옮김 / 헤이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일본인과 일본 사회의 문화의 원형적 특성에 대해 일본의 역사적인 사건들을 실례들을 가지고 분석한 일종의 일본 문화 해설서라고 볼 수 있다. 책의 내용은 크게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의 연구; ‘=통상성의 연구; 일본적 근대주의에 관하여. 이 책의 저자는 2차 대전에 참전한 경험이 있고 서양의 기독교 사상에 경도된 특이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먼저 일본 사회의 독특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공기에 대해 대략적인 정의와 생성과 확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가 사용한 공기에 대해 역자는 분위기라는 단어로 표현했는데 적절한 단어라는 생각이 들었고, 개인적으로는 정서라는 표현과도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감정을 대상에게까지 확대하여 절대적인 경지까지 감정 이입시킨 결과로 생겨나는 일체화단계가 되면 이념화나 신념화로 고착화 되어버려, 대상물에 대해 오로지 찬성과 반대의 2분법적인 세계만이 남게 되는데, 그 어떤 합리적 비판도 수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암묵적인 집단적 응징으로 대응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공기의 영향에 기반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저자가 파악하고 있는 일본 문화의 원형적 본질은 이른바 로 표현한 자신의 통상성이다. 외부적인 요소(사상이나 종교)들에 대해 일본 사회가 자신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외부 요소들을 용해하여 자신의 것으로 체화하는 과정에 이른바 소화효소역할을 하는 요소를 저자는 의 역할로 나타내고 있다.

세번째로 저자는 일본의 천황제를 서양인들이 바라보는 시각, 즉 진화론과 신정제의 대립의 문제를 서양의 기독교 사상에 기반하여 분석하여 기술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현재 일본 사회의 제도와 정책에는 서양의 과학과 사상의 관점에서 모순되는 점들이 병존한다는 사실을 저자는 지적하며, 그것이 이른바 일본의 근본주의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 책은 일본인과 일본 사회의 문화를 형성하며 작동시키는 근본적인 사상적 원형을 다룬 일본 문화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역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저자가 파악한 일본 문화의 원천이 되는 원동력인 공기, 사실 우리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공기는 우리네 정서민심에 해당되며, ‘의 경우 일본의 범신론이 있다면 우리는 현묘지도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문화의 원형에 대해 매우 흥미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책이다. 기존의 일본 문화 해설 서적과는 또 다른 맛이 느껴진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