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낮에 지하철을 타고 먼 길을 떠났다. 살다살다 지하철 안에서만 한 시간 반 정도를 보내기는 처음, 즉 두번째다. 갈 때는 책을 좀 읽었다.(올 때는 기차가 미어터져 죽을 뻔했다.) 대낮이라, 도중에 바깥 풍경을 구경할 여유도 조금 있었다. 몇 년전(언제던가) 경의중앙선 타고 경희대 가던 일이 떠올랐다. 다섯살, 여섯살 아이가 어느덧 아홉살도 끝내는 중이니 참 덧없다. "엄마, 덧없다가 뭐야?"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그러나 이번에도 라디오이다. 너무 오랜만에 가서 무척 재미있었다. 게다가 생방송이어서(더러는 녹음도 있었던가? - 이것도 가물가물하다) 더 재미있었다. 교수채용에 1차 탈락하여 아주 무의미해진, 공개강의를 위해 준비한(김칫국, 쩐다 ㅋㅋㅋ) 정장을 (라디오-_-;;) 방송을 위해 입고 갔다. 교수자리는 얻지 못했으나 정장은 얻었다/남았다.
(<ebs 이승열의 세.음.행.> 홈피에는 그 다음 사진이 올라갔는데 나는 이게 좀 더 마음에 든다. 그런데 자켓이, xs이 없어서 s을 샀더니, 역시 크구나! 수트는 사이즈-핏이 생명인데. 또 사야겠다 -_-;)
언젠가도 쓴 것 같지만, 카세트라디오를 거의 끼고 살았던 나(아마 우리 세대)에게는 라디오 속, 혹은 그 너머 세계가 너무 궁금한 것이었다. 보다시피 이랬다. 프로그램의 특성상 음악을 미리 선곡해서 보냈는데, 시간상 다 못 틀었다. 혹은 내가 너무 많이 떠들어서(-_-;;) 뒤의 음악은 한곡 짤렸다. 처음에 염두에 둔 곡들은 이 정도다.
3번은 이런저런 맥락과 아무 상관없이 오로지 그냥 내가 좋아하는 곡이다. 유학 시절 라디오에서 자주 들었는데 귀국한 뒤에야 알았다. 노랫말이 인도 시인 타고르의 시임을. 물론 보편성에 밀려 방송에 나가지는 않았다. 이 곡도 여러 버전이 있다. 나머지 곡들은 수업 시간에 아이들과 듣고 또 일정 부분 강독도 한 것들이다. 노래 가사 강독/해석이 굉장히 힘들다는 건 이 때 수업하면서 처음 알았다. <백만송이 장미>는 심수봉과 장기하(목 밑에 장미 코사지? 달고^^;)가 부르는 것도 즐거웠다. 결정적으로 빠진 가수는 브이소츠키인데, 지금 넣어본다.
1. 블랏 아쿠자바 - 기도 (음유시인 수준^^;)
Булат Окуджава - Молитва
https://www.youtube.com/watch?v=yCnlaBJRKcE
2. 빅토르 최(쪼이): 혈액행 (영화 <바늘> 삽입)
Виктор Цой "Группа крови"
https://www.youtube.com/watch?v=6C2ti3x9OAA
3. 이리나 오티예바 - 마지막 서사시(청춘물 영화 Вам И Не Снилось 주제곡)
Ирина Отиева - Последняя Поэма
https://www.youtube.com/watch?v=W_tZNxyGAwI
4. 알라 푸가초바, <백만송이 장미>
Миллион алых роз (Песня 1983)
https://www.youtube.com/watch?v=4yEeT6Swh5s
5. 드미트르 호보로스토프스키, <백학>(<모래 시계> 주제곡)
Журавли" Дмитрий Хворостовский (4.2003)
https://www.youtube.com/watch?v=JTjPbkd_UlY
6. 블라디미르 브이소츠키 - 야생마들(말 안 듣는 말들^^;)
Владимир Высоцкий - Кони привередливые
https://www.youtube.com/watch?v=vA0aWBGqTR4
원래 방송 원고에 의하면, 마지막에는 이(런) 겨울에 어울리는 책을 한 권 소개하는 것이었다. 겨울이라면, 당연히 <닥터 지바고>^^; 추운 날, 따뜻한 방안에서 엎드려, 혹은 벽에 기대, 혹은 책상 앞에 앉아, 때론 영화음악 프로그램 들어가며 쉬엄쉬엄 읽으시라. 나도 그리 읽었다.
*
쾌락의 대가는 쓴 법. 지난 주말? 이번 주초부터 왼쪽 어깨가 묵직하고 손끝이 저리고 한 것이, 목디스크(즉 추간판 탈출)가 심해지는 것이 느껴진다. 여기에 왼쪽 다리까지 불편해왔는데 아마 이건 디스크보다는 혈액 순환이나(하지 정맥류??) 근육 뭐 이런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 일주일이 거의 다 됐음에도, 널뛰면서 계속 좋지 않아 병원에 가보아야 할 것 같다. 이런 식의 '작은' 불편과 통증에 감사한다! 마구마구 심술이 나다가도 그래도 감사하게 된다.
더불어,
글쓰기의 시작은 '분노-부정'일 수 있어도
그것이 글을 끝내게 하는 원동력일 수는 없다.
어떤 종류든 한 편의 글(음악이나 그림도 똑같을 터)을
완성하는 힘은, 결국, '사랑-긍정'이다.
모두, 모두, 조금씩만 아프자.
*
사진 속에도 잘 표현된 나의 검정 단발. 우리의 간사함이여, 가진 건 잊고 산다. 부산 가면 엄마가 상기시켜준다. 나의 머리카락은 전혀 세지 않았다. 칠순을 넘긴 아빠도 그렇다. 간혹 새치 한 두 개. 빠지지도 않았다. 할머니도 돌아가실 무렵인 87세에도 머리카락이 빽빽했고 그 무렵엔 반백이었다. 가족력이란 참. 하얘지는 건 괜찮아, 빠지지만 말아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