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알프레드 알바레즈 <자살의 이해>에 관한 동영상을 짧게 찍다가 역자를 새삼 확인했다. 검색을 해보니 마침 (오래된) 새 책 산문집이 나왔기에 냉큼 주문하고, 4부(최근 글)를 먼저 읽었다. 좋았다. 참 좋았다. 그래서 시집을 뒤지니, 정확히 그녀의 시집을 찾아 집을 뒤지니 두 권 밖에 없어, 옛날 시집도 (아마 다시?) 주문했다.
80년대(90년대) 인기 (여성)시인이었다고 하는데, 내 머릿속에는 어째 비슷한 연배의 김혜순 시인과 항상 나란히 놓인다. 김혜순은 말하자면 다 가진(!) 시인이다. 시도 잘 쓰고(인정 받고)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고 예쁘고 건강하고 -- 반면, 최승자는 (언젠가 진은영 시인이 어디에 쓴 대로) 그 반대다. 결혼도 하지 않고 아이는커녕 가족도 없는 것 같고('외숙'이 그나마 유일하신 듯 - 이제는 가셨을 수도) 심지어 아프기까지. 이런 여러 정황까지 얽혀서 그녀의 시 세계가 완성되는 것 같다. 내가 아는, 알았던 최승자는 시인이지만 그와 동시에 니체 <차라투스트라> 번역자이다.
이번에 산문집을 펼쳐 들고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띠지였다, 헉. 띠지에 새겨진 날짜. 그리고 작가의 말, 그 날짜. 쓰지 않고(못하고) 전화기 너머 말로 해서 그렇게 받아 적은 글이라. 그대로 긁어와 본다.
*
오래 묵혀두었던 산문집을 출판하게 되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것 같다.
지나간 시간을 생각하자니
웃음이 쿡 난다.
웃을 일인가.
그만 쓰자
끝.
2021년 11월 11일
*
아시겠지만, 11월 11일은 도스토옙스키의 생일이고, 개인적으론, 남동생의 생일이다. 2021년은 남동생의 마흔 한 번째 생일이었다. 그리고.... 그로부터 오늘까지 - 이제는 저 위의 글을 베껴 써보자. 맨 첫 줄 빼고 둘째 줄 부터 -
오랜 세월이 지난 것 같다.
지나간 시간을 생각하자니
웃음이 쿡 난다.
웃을 일인가.
그만 쓰자
끝.
2021년 11월 11일
*

(장은수 홈페이지에서 가져옴)

흡연 욕구 제대로 자극하는 사진.

*
어째 장미도 창백한 느낌이 좋아 - 연갈색 카푸치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