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한가운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8
루이제 린저 지음, 박찬일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초 건강검진에서 췌장에 혹이 보인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미 여러 지인을 췌장암으로 보낸 경험이 있기에, 각종 검사가 진행된 한 달의 시간 동안 난 생을 정리했다. 각종 서류를 미리 준비해 클리어 파일 홀더에 차곡차곡 정리해 옆지기에게 알려줬고, 아이들에게도 미리 유언을 해두었다. 난 꽤나 사무적으로 유능하게 일처리를 진행했다.


그런데 최종 검사결과 앞으로도 추적 관찰은 필요하지만 암은 아니라는 판정을 받았다. 의사는 기쁘다는 듯이 소식을 전하는데, 난 순간 냉정을 잃고 무너졌다. 3개월, 길어야 1년을 넘지 않을 줄 알았던 단기 프로젝트가, 끝이 없는 하자보수의 나락에 빠진 거 같았다. 막막해서 눈물만 났다. 

어찌어찌 병원문을 나선 뒤 지난 가을까지 맥이 빠진 채 시간을 흘려보냈다. 난 이미 생을 마무리했는데, 내 앞에는 여전히 생이 남아있었다. 난 내 앞에 새로 뚝떨어진 시간을 어떻게 계획하고 지탱해 나가야 할 지 용기가 나지 않았다. 


그나마 가족들과 지인들의 따뜻한 격려에 힘입어 지난 가을 이후 정신을 차리려고 노력중이다. 일단은 손에 잡히는 책을 이것저것 읽어치우고 있는데, 그러다 보면 답은 못 찾아도 신경은 분산되는 효과가 있는 듯 하다. 그러다 읽은 책이 '삶의 한가운데'이다.


분명히 어렸을 적 읽은 책인데, 손톱 만큼도 기억나지 않는 책이었다. 읽다가 집어던졌던 걸까. 아니면 글자만 읽은 걸까. 하여간 처음 읽는 책처럼 읽는데, 재미가 없었다. 그럼에도 끝까지 읽은 건 니나의 고백 때문이었다. 


나는 누워서 기다렸어. 죽음을, 아니, 죽음의 상태를, 배후를 기다리고 있었어. (중략) 나는 아직 살아있었어. 그리고 나는 삶 속으로 다시 내던져졌던 거야. 나는 몹시 부끄러웠어. 위대한 기회가 지나가 버렸다는 것을 알았고 다른 모든 사람과 마찬가지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어. (중략) 죽음이 나를 데려가려 하지 않았으므로 나도 죽음을 더 이상 원하지 않았어. 삶쪽으로 돌아서게 된 거야. 그런데 산다는 것은 그 무렵의 나에게는 아는 것, 무섭게 많이 아는 것, 생각하는 것, 모든 것을 파고드는 것을 의미했어. 그 밖에는 없었어.


끝까지 읽은 지금도 여전히 니나는 삶의 재개를 어떻게 2번이나 성공했는지 모르겠다. 자살까지 시도했었으면서, 누군가의 자살을 도와주기도 했으면서, 니나 당신은 어떻게 난 몰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던 거지? 하아, 일단은 닥치는대로 더 열심히 읽는 수 밖에 없는 걸까, 아니면 니나를 다시 읽어야 하는 걸까? 아니면 루이제 린저의 전기를 읽어볼까. 


49쪽 니나의 고백

126쪽 니나의 편지

136쪽 니나의 소설

211쪽 니나의 토론

303쪽 니나의 시도

345쪽 니나의 분노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14-11-30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그래도 다행이예요. 제가 겪어보지 못한 상황이라 섣부르게 조선인님 마음을 이해한다고 말하기도 어렵지만, 그래도 얼마나 다행인지
힘내세요. 늘 건강 챙기세요. 마로와 해람이 옆지기분까지 조선인님은 삶의 가장 중요한 버팀목이잖아요

cyrus 2014-11-30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리 발견했으니 정말 다행입니다. 조선인님 곁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생각해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건강했으면 좋겠습니다.

blanca 2014-11-30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조선인님, 저도 최근에 이 책을 읽었는데... 그런 일이 있었군요. 갑자기 울컥합니다. 아이를 둔 엄마로서 조선인님이 행간이 어떤 이야기들을 생략하셨을까 싶어서요. 저도 솔직히 이 책은 학창시절에 재미없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요. 다시 접한 지금도 제대로 읽어낸 건가 싶고요. 다시 잘 살아요, 우리.

섬사이 2014-12-01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등학생일 때 읽었더랬죠. 한동안 좋아하는 책을 물으면 <삶의 한가운데>라고 대답했었어요. 지금은 내용도 잘 기억나지 않고, 그저 나나가 굉장히 치열한 삶을 살았더라는 기억만 남았어요.
다시 삶에 던져진 기분이 어떤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저는 다시 삶 속으로 던져진 조선인님이 반갑고 기쁘고 안심이 돼요.
눈이 내립니다. 조선인 님의 다시 시작하는 생이 마로와 해람이에게는 커다란 축복일 거예요.

반디 2014-12-02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지난 여름 글에서 묘한 것을 느꼈었는데 그런 것이었군요. 무엇보다 축하드려요.
살면서 내 삶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거든요.
그것보다 기쁜 것은 이제 더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덤으로 님께 돌아왔잖아요.
덥석. 글을 쓰려니 잘 안써집니다. 신산하구요.
여유가 생기면 길게 쓸께요. 행복한 겨울 보내고, 행복한 삶의 하루가 되시길 빌어요.
음. 홧팅!!
덧. 루이제린저는 그만 읽고 더 힘나는 책으로^^

조선인 2014-12-03 11: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격려해주신 분들, 모두 고마워요. 아직 어쩔 줄 모르고 헤매고 있지만, 제 주변에 이리 따스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에는 몹시 행복해 하고 있어요. 거듭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