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피메테우스님이 추천한 솔출판사의 편저를 사야겠다.
하지만 리상호씨가 번역했다는 삼국유사에도 솔찬히 마음이 끌린다.
3권이나 되는 열하일기를 보고 질렸지만, 막상 잡고선 놓치 못했던 터라.
그래서 리뷰를 보고 어느 걸 먼저 살 것인가 결정하기로 했다.
그런데 리상호씨 번역이 잘못되었다는 리뷰가 있다.
" 쉽게 읽힌다고 발문에 소개돼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네요. 교열까지 거쳤다는데 왜 그럴까요? 읽다가 너무 어렵고 짜증이 나, 예전에 샀던 문고판(삼중당) 삼국유사와 비교해 봤어요. 이 책의 번역이 너무 난삽하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혹 이 책의 사진에 매료되어 책을 사시려는 분은 좀 고려해보셔야 할 듯 싶어요. 이 책이 사진집은 아니잖아요?
자, 임의의 한 대목을 비교하여 보여드릴께요. 제가 왜 투덜대는지 이해하실 거에요.
[까치판 삼국유사 269-270쪽]
삼보감통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요동성 옆에 있는 탑은 옛날 노인들이 전하여 말하기를, '옛날 고구려 성왕이 국경지방으로 순행하다가 이 성에 이르러 오색 구름이 땅을 덮는 것을 보고, 구름 속으로 가서 살펴보니 웬 중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데 가까이 가서 보면 그만 없어지고 멀리서 보면....
[삼중당 문고판 삼국유사(하) 38-39쪽]
'삼보감통록'의 소재다. 고구려 요동성 곁에 있는 탑은 옛 노인들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내력을 가진 것이라 한다.
옛날 고구려 성왕이 국경 순행 차 이 성에 이르렀다. 왕 일행은 오색 구름이 땅을 덮고 있는 것을 보았다. 구름 속으로 찾아들어가 보았더니 한 중이 석장을 짚고 서 있었다. 그러나 그 중 가까이에 가자 중은 문득 사라지고 없었다. 다시 물러나와 멀리에서 바라보니 중은 또 도로 나타나 있었다.
잘못된(?) 번역으로 소중한 고전이 독자들에게 왕따당할까 걱정되네요."
곰곰히 봐도 어디가 잘못된 번역인지 못 찾겠다. 끄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