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떠도는 낭설중의 하나가 현충일이 6월 6일인 이유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D-day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대학 다닐 때 이 얘기를 처음 들었는데, 어제 모 서재에서 이 얘기가 또 들먹거려진 걸 보니 근거없는 소문의 생명력이 꽤 길구나 싶기도 하고, 우리 정부의 사대성으로 인해 뜬금없는 비방이 설득력을 가지는 것은 아닐까 씁쓸하기도 하다.

각설하고... 현충일의 유래는 매해 6월 6일 또는 7일이 24절기상 망종이기 때문이다. 망종은 한식과 더불어 손없는 날 중 하나로, 한식에는 성묘를 하고 망종에는 제사를 모셨다. 망종은 1년중 가장 바쁜 농번기이지만 그 와중에도 한 해 농사가 잘 되도록 조상을 섬긴 것이다. 아울러 조선 시대에 전사한 군인들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제례를 망종에 지낸 것도 현충일의 유래라 하겠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6-08 1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4절기중 망종의 앞에 있는 청명에는 삭초를 그리고 한식에는 성묘를 지냈고, 망종에는 제사를 지내던 우리 고유의 풍습이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의 현충일이 제정된 1956년 의 망종이 바로 6월 6일이었으며 그로 인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일로 지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노르망디 운운하며 사대주의를 들먹이는것은 단지 시비를 위한 낭설일 따름이며 우리국민은 남의 승전일을 따라 현충일을 정할 만큼 그렇게 덜 떨어지지는 않았답니다.

조선인 2004-06-08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수께끼님의 더 자세한 설명도 그 서재에 옮겨놓겠습니다. ^^

메시지 2004-06-08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starrysky 2004-06-09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저도 그 노르망디 상륙작전 D-day와 관련된 얘기를 정설로 믿었답니다. 네이버 검색해서 저 위의 얘기를 읽어놓고도 오히려 저게 정부에서 조작한 얘기라고 생각했어요.. 에고, 제대로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홍당무 2004-06-11 2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지식검색. 거기 나오는 것들은 대부분이 소문(!)일 뿐입니다.
소문의 집합체일 뿐이고, 카더라 통신의 블랙홀입니다.
제발 사람들이 지식검색을 믿지 않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