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오래전 구매 해 책장 한 곳에 꽂아둔 이 책을 꺼내 든 이유는 뮤지컬 관람 때문이었다. 아직 읽지도 않은 이 책이 가까운 곳에 자리했기 때문일까. 아직 오르지도 않은 뮤지컬에 흥미가 생기는 것은 말이다. 이 기회에 한 번 읽어나 볼까하는 가벼운 마음으로 연휴가 끝나 더 노곤해지는 일상의 일을 접고 침대 한 구석에 자리를 잡는다. 밤이 깊어갈 수록 또렷해지는 의식은 꿈 인 듯 생인 듯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오래전 남한산성의 모습이 눈에 선명한 이유 때문이었다.




김훈의 문체는 짧다. 짧은 문장 안에 담고자 하는 바가 많기 때문인지 절제된 듯하고 곱씹어야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 쉽게 읽히지만 잠시 시선을 공중으로 옮겨야 흐름이 자연스럽다. 굳이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을 글로 옮겨놓은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아무 편도 아니다. 나는 다만 고통 받는 자들의 편이다.”라고 소설의 집필의도를 밝히는 저자의 말 때문이었을까. 당쟁으로 전쟁을 막지 못했던 대신들도 이를 해결하지 못한 임금도 그래서 더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던 백성들도 이 글의 주인공이다. 그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이 그들을 위한 소설을 쓰도록 한 원인이다.




흔히들 당시의 병자호란은 당쟁의 폐해라고 한다. 명분보다는 실리를 추구했던 광해군을 몰아내고 임금이 된 인조와 서인들에게 그 짐을 지우고 있는데 이 책에서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말들의 산맥에 가로막혀 시야를 확보할 수 없다던 그 표현이 이를 짐작케 한다. 허나 누구의 책임이다 하는 여부를 다루는 책은 아니다. 다만 일어난 일을 상상할 뿐.




청병의 추격으로 강화로 들지 못한 임금과 조정대신들은 외부의 적으로부터 방어하기에는 적격이었으나 스스로 고립되는 지세를 갖춘 남한산성으로 길을 돌린다. 견디자 하였으나 견디기 어려운 날들이었다. 추운 날들이 지속되고 성안의 물자들이 말라갈수록 말들의 싸움은 격해진다. 화친을 통해 삶을 중요시 하자는 말과 죽음으로써 살기를 청하는 말의 싸움은 그치지 않는다.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길에는 백성은 없어 보인다. 이것이 그들의 싸움이 말뿐인 이유일 것이다. 남한산성은 말이 쌓은 성이었다. 또한 이를 허문 것도 말이었다. 삶을 위해 말을 포기한다는 의미는 말의 허망함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이다.




우리가 상상하던 인조와 다른 모습에 아연해질 수도 있지만 오로지 소설로만 익혀야 한다는 일러두기를 잊지 않으면 될 것이다. 그토록 짧은 실록의 글을 보고 이토록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김훈은 역시 타고난 글쟁이라는 생각을 강화시킨다. 명분과 실리 중 좇아야 할 것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유효한 고민을 깊이 생각하게 하는 책으로는 이만한 책은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