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전우용 지음 / 돌베개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겨울 『우리 역사의 이해』란 주제를 가지고 서울 지역을 답사하는 것을 연수한 적이 있었다. 매우 추운 날이어서 발가락이 얼 정도였었는데, 그래서인지 처음엔 빨리 끝내지 하는 안이한 생각이 드는 것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열 강의를 펼치고 있는 교수님의 덕분인지 추위는 사그라지고 잔잔한 감동과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역시 아쉬운 점은 작가가 우려하고 있듯이 현실에 도움도 되지 않고 외국 여행에서 본 베르사유 궁이나 자금성 등의 궁궐보다는 초라하게 느끼는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몇몇을 위한 답사로 그치고 말았다는 사실이다.

 서울이 조선조 500여년의 수도인 때문에 곳곳에서 숨은 역사를 느낄 수 있음은 어쩌면 너무 당연한 것인데도, 사람들의 관심을 잃은 지 오래라 아쉬움이 남았었고, 가끔 문화재청이나 특별한 연구 목적의 흥미를 가질 수 없는 팜플렛의 한 단편으로 소개하는 내용에 부족함을 느끼던 차에, 이런 좋은 책 한 권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더없이 기쁘고 설레이기까지 해 책을 받자마자 펼쳐들었다.

 자료의 풍부함과 옛 사진으로 만나는 서울의 면면을 구경할 수 있는 것도 기쁠 일이었지만, 역시 작가의 장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설명은 처음 서울을 만나듯 생소하면서도 즐겁다.

 왜 서울인가? 어릴 적엔 서울이 수도라는 말인 줄 알았다. 가끔 선생님들이 어느 나라의 수도 예를 들어 베이징을 설명할 때면, 중국의 서울 이런 식으로 설명을 하던 기억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서울이라는 지명 속에도 다양한 해석이 들어있음을 제시하며 흥미를 돋운다.

 서울은 애초에 계획도시다. 한양으로 천도를 계획한 사람은 정도전이었다. 정도전은 신권중심의 정치체제를 꿈꾸다가 결국 왕권중심의 정치를 원하던 이방원에게 제거된다. 둘의 동상이몽의 꿈은 조선이라는 나라를 건국하는데 까지는 같았으나 그 이후로는 운명이 엇갈리게 된다. 이러한 둘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궁궐이라는데 정도전의 궁궐은 궐역 중심으로 이방원의 궁궐은 궁역 중심으로 나타나 후세의 우리에게도 그 의미를 전하고 있다. 궁을 즐겨 찾는 나로서는 저자의 설명에 찬탄이 절로 쏟아진다. 역시 또 아는 만큼 보인다는 진리를 깨닫게 된다.

 똥물, 똥개라는 대목에서는 서울의 도시 하수처리에 대한 재미난 에피소드를 통해 중세 도시의 면모를 소개하고 있다. 똥물이야 그렇다지만, 똥개라니...저자말대로 똥소나 똥말은 없다. 집집마다 개와 돼지를 기르던 사연이 기막히다.

 땅거지는 또 어떤가. 서울의 옛 모습과 자취만 담은 책인 줄 알았더니, 무심코 사용하는 단어의 기원에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똥개나 똥돼지 만으로는 더 이상 분뇨를 감당해 내지 못한다. 도시가 커지면서 사람이 늘면 의식주도 자연히 늘게 되는 법. 땔감 사용으로 인한 재가 하상에 쌓여 여름이면 홍수가 나 피해가 만만치 않았다. 그래서 떨어진 영조의 준천 작업령에 의해 하천 양안에 두 산이 생겨난다. 거지도 그 수가 늘어 다리 밑 어느 자리도 낄 수 없던 거지들이 두 산을 파고 기어들자 땅거지가 등장하게 된다. 이들이 뱀을 잡아 팔 수 있는 독점권을 얻게 되는데 그들이 땅꾼이다. 서울로의 인구이동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가 보다.

 압구정과 석파정에서는 붕당정치의 폐단으로 말미암은 왕권 약화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산속의 정자는 왕도 능가하는 그들만의 정치가 있던 장소임을 가끔 쉬어가는 사람들 알고 있을지 모르겠다. 이러한 붕당정치의 폐단을 막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한 영조와 정조의 탕평정치는 어찌 보면 실패할 수밖에 없던 일임을 서울의 땅 소유를 통해 설명한다. 땅평이 제대로 되지 않은 끼리끼리 모여살기의 땅 소유 방식으로 말미암은 폐단이라는 것인데, 오늘날 강북, 강남의 차별도 결국 땅평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서울이 점점 커지면서, 도심과 부도심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음을 종로와 전차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구도심 종로의 기억은 도심의 추억을 기억하는 이곳으로 모여드는 노인들의 모습에서 그리고 지하철 1호선의 모습에서 아련하게 남아 기억되고 있다. 서울이 성장하며 팔각정, 시계탑, 제중원, 촬영국, 파리국 등은 추억 속에나 그 모습을 회상할 수 있는 곳으로 치부되었고, 물장수와 복덕방은 구시대의 유물로 전락해 버리고 말았다. 성장의 모습 이면에는 이렇듯 쇠락한 모습이 있음을 알고 있지만, 쓸쓸한 기분이 들고 말았다.

 마지막으로 덕수궁 분수대의 건설배경에 대해 쓰고 있는데, 덕수궁에 가 본 사람은 알리라. 석조전과 분수대의 생뚱맞음을. 조선 시대에는 죄인의 집을 헐어 못을 팠다고들 하는데, 분수대라니 했었는데, 저자의 상상력으로 완성된 하나의 시나리오는 약소국으로 전락해버린 대한제국의 수도 서울의 모습이 한스럽기까지 하다.

 처음 수도 서울이 탄생하게 된 시절부터 최근의 서울 모습까지 논리적이거나 기계적인 배열이 아닌 구성으로 찬찬히 서울의 모습을 둘러보고 역사를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된 책읽기였다. 조만간 아무래도 이 책에 나온 몇몇의 장소를 둘러보고 싶다는 욕심이 동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rm 2008-07-13 1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도 흥미롭네요! 언제 읽어봐야겠어요. 늘 서울에 살았으면서 서울에 대해 참 모르고 사네요. 홍성태님의 '서울에서 서울을 찾는다'는 읽었는데 서울이란 도시의 근현대사에서의 변화상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실려있어요.

책사랑(지현) 2008-08-05 0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추예요. 정말 서울을 다시 보게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더 소중해지는 듯 하구요~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