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 A
조나단 트리겔 지음, 이주혜.장인선 옮김 / 이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영화제에서 화제를 모았던 영화였던 지라 구해보고 싶었지만 여의치 않아 대신 책으로 아쉬움을 달래고자 읽게 되었다. 소년범으로 복역했다가 출소된 후 사회에 적응하려 한 소년 A에 관한 이야기다. 다시 사회로 나왔을 때에는 ‘잭’이라는 이름을 직접 선택했다. 모나지 않은 이름. 평번한 한 사람으로 사회에 섞이고 싶은 바람을 담았으리라.




바람은 잘 이루어 지지 않았다. 누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과거를 지울 수 없는 개인의 기억 때문이었다. 이름도 성도 사는 곳도 그의 과거조차도 새 것이었지만 맞지 않는 옷을 걸쳐 입듯이 어색하기만 했다. 누군가에게 감시 받고 있는 느낌. 언제가 들통 나게 될 거짓말의 위력은 나날이 증가해서 현재 자신의 진심마저도 거짓으로 비춰질까 두려웠다. 새로운 친구들 그리고 새로운 사랑이 중요할수록 잭의 불안은 커져만 간다.




이러한 때에 세상은 예전에 잔인하게 소녀를 살해한 뒤 몇 년 만에 출소한 소년 A의 행적을 찾고자 했다. 숨으려는 소년 A와 그를 찾고자 하는 세상. 잔혹한 살인마의 출소는 일반인들의 평화로운 삶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여겨졌으며 그들의 요구는 정당한 것이었다. 허나 세상을 향해 한 발 한 발 조심스럽게 나아가는 잭의 입장은 그렇지 못했다.




가해자의 입장에서 소설이 쓰여 졌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일반인의 인식을 달리하게 할 무언가를 담고 있다. 특히 소년 A의 불우했던 어린 시절과 화목하지 못했던 가정환경을 돌이켜 보면 잭의 선택은 안타깝기만 하다. 전전긍긍 하며 세상을 살아야 했던 점에서는 더더욱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을 것이다. 반면 보통사람으로서는 그렇다고 해도...범죄자가 복역한 후 출소 되었을 때에 그를 온전히 바로 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말문이 막힌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 변하는 게 세상의 이치이긴 하다. 나 또한 법을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잘못한 점들이 없지 않다. 더욱이 소년 A는 아직 세상 모든 일에 미숙한 소년이지 않았는가. 죄를 인정하고 반성하고 새롭게 탄생하고픈 사람들도 당연히 있을 것이다. 허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많은 것을 감안할 때,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라는 주문을 모든 이들에게 강요할 수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무조건적인 격리와 차별은 그들이 이글의 잭처럼 세상을 포기할 수도 다시 세상을 향한 칼을 갈수도 있을 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가해자든 피해자든 그렇지 않든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이가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