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지는 아이들 ㅣ 새로고침 (책콩 청소년)
로버트 스윈델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에서 연상되는 것이 있다면 불편함 혹은 부정적인 느낌 등이었을 것이다. 호기심을 이끌기에 충분한 제목이었기에 집어 든 책이었지만, 얇다는 것 그리고 쉬운 문장이라는 점 외에 쉬운 책은 아니었다. 담고 있는 이야기의 무게가 무거워 읽는 내내 혹은 읽은 이후에 많은 고민을 가져다 준 책이 되었다.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책이다. 놀랍게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알고 있는 최빈 국가들이 아닌 영국이 그 배경이다. 사실 놀랍다는 말은 쓰여서는 안 될 지도 모른다. 얼마 전 일간지에서 우리나라의 거리의 청소년을 특집기사로 내보낸 적이 있으니 말이다. 그 기사의 일부 내용에서는 이러한 청소년이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있어 심란한 적이 있었다. 가정이 해체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듯이 가정의 울타리가 허물어진 이후 아이들의 내몰림은 어찌 보면 당연한 수순인지도 모르겠다.
거기에 더해 노숙인의 문제에 관한 책이기도 하다. 노숙인을 바라보는 사회의 냉정한 시선에 대해 높은 비중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이용해 구걸을 하게하고 착취하는 이들이 있다는 이야기나 노숙인들이 구걸을 한 돈으로 술을 먹다가 알콜중독이 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쉼터나 안정된 곳에서 결국 못 이기고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간다는 이야기 등은 언제부터인가 그들을 냉정하게 바라보게 하는 계기가 된 것이 사실일 것이다. 더러 어떤 이는 그들을 사회에서 제거해야 할 악성종양인 것 마냥 떠들어 대는 것도 종종 볼 수 있을 정도로 그들을 외면하는 일도 익숙하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영국도 마찬가지여서, 그들에 대한 대처 또한 다르지 않다. 직장과 집을 갖고 싶어 하는 그들이지만 점점 더 수렁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이 그렇다. 왜 그들은 일을 하지 않지?하는 보통사람의 시선으로 생각했던 사람들도 이 책을 읽는다면 아마도 그들을 조금 이해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한다. 나 또한 그랬으니 말이다. 아울러 거리로 내몰리고 있는 아이들에 대한 대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함을 인식하게 된다.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상상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것임을 확인했을 뿐이었다. 의식주 외에도 투명인간처럼 혹은 다른 종족인 것 마냥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실은 결국 그들을 그리고 사회를 멍들게 할 뿐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이 경계하고 가장 큰 바는 쉘터라는 연쇄살인자의 살인을 통해 노숙인을 사회의 악이라는 생각을 가진 일반인들의 편견일 것이다. 그의 살인이 정당화 될 수 없는 이유는 이 책을 읽어보게 되면 누구나 알 수 있으리라. 결국 그들도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하나의 소중한 인간이었음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그들 스스로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때는, 그러니까 몇 년 전만 해도 그애 역시 어여쁜 아기였겠지. 엄마 아빠라면 누구나 그렇듯, 그 애의 부모 역시 한없는 사랑을 베풀었을 테고. 예쁜 이름을 지어주며 우리 아기는 자라서 어떤 사람이 될까, 뭐 이런 이야기들을 나누었겠지. 그런데 그 예쁜 아기가 자라 비닐봉다리라고 불리며 남이 먹다 남긴 음식으로 연명하다가 어느 날 홀연히 사라져 버렸지만, 신경 쓰는 이 하나 없는 무의미한 존재가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으리라. p.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