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리와 나 - 한 초보 부부 그리고 강아지 한 마리의 가족 만들기
존 그로건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내가 어릴 적에도 인간과 개에 관한 영화는 있었다. 개의 종류와 주인공은 매번 달랐지만 이야기는 비슷해서 영화를 보지 않고도 이야기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영화나 책을 탐하게 되는 이유는 이야기 속에서 언제나 기쁨과 감동을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말리 이야기에서도 그러했다. 물론 대부분의 개 이야기에서의 영리함은 찾을 수 없었지만 중요하지 않았다. 이마저도 사랑스러운 개 말리였으니 말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징후가 아닌가보다. 래브라도 리트리버에게도 나타나는 것을 보면 말이다. 매우 온순하게 생겼지만, 근육으로 탄탄한 몸매를 자랑하고 지나치리만큼 뿜어내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모습은 그간 이 개를 알았던 정보와 상반되어 놀랍다. 이렇게 큰 개를 기를 수 있는 여건이 되지도 않겠지만, 내가 개를 산다면 이 녀석은 안되겠다는 생각을 할 만큼 주의가 필요한 개임에 틀림없었다.
고의는 없었지만 망가뜨리고 침을 이곳저곳에 튀기며 묻히고 흘리기까지 해 주인의 손이 필요한 개, 천둥번개 소리에 예민해 이곳저곳을 파괴할 만큼 문제가 있던 개, 주인이 한 시도 눈을 팔 수 없게 하는 개는 주인의 대단한 인내심 없이는 돌 볼 수 없는 개일 것이다. 그러한 말리는 내 기준으로 본다면 매우 좋은 주인을 만났다. 존 그로건은 매우 자상했으며 인내심도 대단했다. 허나 이 모든 것이 개로부터 배운 우정이었음을 안다면 놀라운 일도 아니다.
어릴 적 개와 함께 성장한 존에게 이러한 인내심을 발휘는 일은 특별할 것이 없었으며 그 아내 제인도 특별한 시기가 아닐 경우에는 마찬가지였다. 그들의 아이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힘겨운 과정을 가까운 곳에서 위로해준 친구가 또한 말리였기에 이후 삶의 과정에서 말리는 꼭 있어야할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남들의 시선에는 비합리적인 것일지 모르지만, 그들에게는 최고의 친구였음에 틀림없었다는 것이다.
언제나 충직한 우정을 보여준 말리에게 다가온 시련은 안타까움을 유발한다. 가까이 이 모습을 지켜보는 존과 제인 그리고 아이들의 심정을 조금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활기찬 모습을 잃지 않았던 말리. 늙어서 움직임이 굼뜬 이후에도 변치 않고 보여준 행동들은 감동을 전하기에 알맞다. 이를 직접 겪어본 식구들은 어떠했을까. 또한 결국 죽음을 맞이한 말리의 마지막을 지켜본 이의 심정은 또한 어떠했을까. 나또한 어릴 적 귀여워하던 개를 잃고 이후로는 개를 기를 수 없을 정도로 큰 아픔을 겪은 적이 있기에 공감할 수 있는 슬픔이었다.
개를 좋아하는 이가 아니라도 이 이야기를 읽는 이들은 감동과 따스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개를 좋아하는 이라면 지금 기르고 있는 자신의 개를 떠올리는 일이 잦아 슬픔에 잠길 순간이 많을 것 같다. 개와 인간의 우정과 믿음은 말리 이후로도 수많은 이야기로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개와 인간이 걸어온 시간이었고 변치 않는 관계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