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돌의 기억들
현고진 지음 / 포럼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여기서 아름답다는 말은 원초적인 의미에서의 자연이 그렇다는 말이다. 이야기는 아름답지만 이 글을 쓴 이의 의도는 다소 안타깝다. 지금의 시대를 지나치게 절망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5만여 년 전의 이야기를 쓰게 되었다는 말이 씁쓸함을 갖게 한다. 물론 환경문제로 인한 인류의 절멸이라는 위기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나 인류의 시간을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사랑의 발견을 해결의 근원에 두려고 하는 점이다. 이전이나 지금이나 사랑이 없는 사회란 절망을 뿌리내리기 가장 알맞은 장소이므로.

5만 여 년 전, 한반도와 중국이 하나의 대륙을 이루고 있는 시기에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에 기후의 변화가 있었고 살 곳을 찾아 이동하는 일이 벌어지겠지만 이 시기에는 그곳이 시작이었다. 불과 도구를 사용했다는 그들은 어떠한 생활을 하였을까하는 궁금증은 많은 상상을 가능하게 한다. 무척이나 다르다고 인식되는 그들이지만 생각해보면 현 인류의 조상인 그들의 사고는 지금과 다르지 않았으리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다.

당시는 작은 무리로 이동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수렵과 채집 생활은 항상 식량의 부족이라는 문제를 직면하였으므로 규모가 지나치게 클 경우 무리의 안전이 보장될 수 없었다. 대체로 무리는 혈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 책의 물보라, 하늘바람, 푸른지네, 구름호수 등도 그러했다. 무리를 이끄는 것은 남자일 수도 있고 여자일 수도 있었다. 채집생활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여성들의 지위가 남성들에 비해 낮지 않았다. 평등적인 관계맺음으로 무리를 이끌어갈 가능성이 높았던 것이다.

이야기에서는 두 무리의 충돌을 엿볼 수 있는데, 식량이 그 원인이었다. 항상 이것은 무리의 고민이었고 늘어가는 인구를 부양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싸움은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기적인 이유 만으로의 싸움은 훨씬 더 이후의 인류역사를 장식하였으니 말이다.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싸움은 많은 피해를 입혔다.

결국 그 싸움에서 승리하는 자는 강한 자들이었다. 새로운 도구를 이용하고 강한 무기를 선택하는 자들이 지배할 수 있었다. 때로 이동하는 무리들이 유입되기도 하였다. 이 모든 일들이 자연처럼 당연한 일이었던 시기였다. 이들의 이야기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공동체를 위한 희생과 현실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순응의 태도다. 이기적인 심성을 지닌 것이 인간이라는 것을 보편적인 기준으로 볼 때 이러한 태도야 말로 공동체를 이끌어가게 되는 가장 큰 특징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한다. 현 문제 해결의 근원을 불의 발견보다 위대한 사랑의 발견이라는 저자의 의견이 희망적인 것은 아마도 이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