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편지
정민.박동욱 엮음 / 김영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 연쇄적으로 비슷한 유의 책을 찾게 되는 이유 때문일까, 아버지의 자식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는 책을 근래에 자주 접하게 된다. 백범과 율곡에 관한 책 또한 아버지로써 자식을 이끌어주기 위한 책이었는데, 두 권 모두 유익하면서도 부정에 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었다. 한국사회가 바라는 아버지상이 그러했을지도 모르겠지만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유난히 거리가 느껴지는 분이었다. 살가운 말 한마디보다는 엄준한 꾸중을 하시는 분이라고 여겨지는 아버지의 모습은 편지에서도 여실히 느껴진다. 허나 매섭기 보다는 자식을 걱정하고 귀히 여기는 모습이다.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주제를 들라하면 역시 입신이 되겠다. 예나 지금이나 자식의 성공은 부모의 바람이 아니던가. 물론 고생보다는 편함을 바라는 마음도 있겠지만 세상을 살아가며 큰 뜻을 품고 펼치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컸을 것이다. 큰 뜻을 품지 못하고 중도 포기하는 경우를 크게 나무란 부분이 각각의 편지마다 큰 비중을 차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대 최고의 문인 혹은 예술가였던 이들의 편지이기에 본인이 빈한 생활을 하면서도 아들에게 이러한 길을 걷지 말라 당부하는 이는 없었다. 재물보다도 더 큰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다하는 길을 모색할 것을 끊임없이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학문하는 자로서의 공부법에 대한 내용이 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자신의 젊은 시절의 공부법부터 공부를 게을리 할 경우의 나무람까지 오늘날 부모님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자식의 성격에 대한 파악을 통해 각자의 맞춤 공부법까지 적절하게 지적하는 부분에서는 아버지는 역시 큰 스승이라는 옛 말씀이 떠오르기도 했다. 학문에 임하기 전의 마음을 다스리는 법과 말을 다스리는 법 등등 구구절절 옳은 이야기들은 곱씹어 읽을 만한 글이 다. 다만 못된 점만을 부각하여 나무라는 부분이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칭친은 고래도 춤추게 하건만, 당시에는 통용되지 않았던 것일까. 그러함에도 대부분의 자식들이 아버지의 모습을 좇아 옳은 길을 갔던 것을 보면 아버지의 관심과 걱정이 잘 전해진 듯하다.

여러 명의 아버지들이 각자의 자식에게 보낸 편지이건만, 상황설명이나 세부적인 사항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비슷하다. 물론 오늘날의 아버지의 걱정과도 무척이나 닮았다. 예나지금이나 부모의 마음은 한결 같은 것이 그 이유이리라. 오늘 날 아버지들도 자식들에게 손수 편지를 쓰는 방법을 사용해보는 것도 좋은 가르침의 방식이 될 것 같다. 글이란 것은 말과는 다른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어, 아버지의 심정을 전하는 좋은 매개체가 되리라 생각되어진다. 오늘 날 이 편지들을 읽고 있는 우리에게도 유효한 가르침이 되어주고 있지 않은가하는 생각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