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틈새 독서 - 시간을 지배하는 사람의 하루 15분 책읽기
김선욱 지음 / 북포스 / 2008년 12월
평점 :
오랜 시간 독서를 해온 경험이 없다. 학창시절에는 공부에 쫓기다 보니 그랬다지만, 대학시절에는 그 흔한 권함의 책인 고전을 들춰보는 일도 하지 않았다. 지금은 그때의 일을 뼈저리게 후회하고 있기에 밤잠을 줄여가며 하는 책읽기를 하고 있다. 시간이 나면 나는 대로 그렇지 않다면 내서라도 읽게 되는 책은, 읽을수록 마음 한 구석이 만족감과 행복감으로 충만해져 오는 느낌이다. 그래서 일까....틈새독서라는 책명이 마음에 들었다. 현대인이라면 시간의 부족이라는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할 수 없을 터라는 생각이 있어서였을 것이다. 틈새독서의 방법과 제안에 대한 내용들이 사뭇 궁금해졌다. 내가 하고 있는 바가 틈새독서라고 생각했지만, 독서로 인해 인생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경영하고 있다고 확언하는 저자의 방법들이 궁금했다. 책을 읽는 이유가 또 배움이 아니던가. 읽고 내 것으로 배우리라는 마음에 다급해졌다.
저자의 독서사랑이 주요 내용이라 보면 될 것이다. 왜 책을 읽고 있는지 전하고 있는 글에서는 책에 대한 사랑이 오롯이 담겨있다. 인간은 본래 생각하는 대로 이뤄지는 존재라고 한다면 다양한 생각을 형성하게 하는 책은 다양하게 그리고 깊이 읽는 것이 중요함을 저자의 경험에 비추어 이야기한다. 아이들에게 책 읽기를 강요하기 보다는 자신의 모습에서 닮기를 바라는 부정이 느껴지는 부분에서는 미소가 번지기도 했다. 나 또한 되도록 자주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습을 통해 독서를 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니 말이다.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은 책이라 그런지 더없이 빠져들게 되는 책이 되었다.
가장 중요하게 본 부분은 틈새독서의 방법이었다. 내가 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좋은 점을 추려내어 적용해보고 싶었다. 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심정을 절대공감 할 수 있으리라. 시간대별로 다른 책을 읽으라는 권유가 눈에 박힌다. 사실 책읽기의 속도나 양에 있어서는 자신이 붙었지만, 너무 편향된 독서를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문제의식이 싹트고 있었기 때문이다. 의식적인 노력이 없이는 나아지지 않는다고 하니, 이 문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저자는 그 방법으로 시간대별로 다른 유형의 책을 읽으라고 했다. 출퇴근 시간, 화장실에 있는 시간, 식사시간, 잠자기 전, 휴일 등 파트별로 나누어 읽다보면 나아질 것이라고 한다. 아...독서가의 길은 멀고 험하구나하는 생각이 조금 들지 않겠는가. 허나 “생각의 변화”가 독서의 가장 큰 선물이라는 점에서 시간과 시간의 틈새시간을 끌어 모아 독서를 하는 작업이야말로 강조를 해도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누군가는 이러면 괴롭지 않을까 하겠지만, 책읽기의 매력은 할수록 욕심을 내게 하는 그 무엇이라는 것을 느낀다면 저자의 말에 공감을 할 수 있으리라. 이외에도 독자의 분류를 통한 틈새독서의 방법도 담고 있어 해당되는 부분을 발췌해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
틈새시간 15분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의식적인 노력을 지속한다면 인생은 풍요로워질 것이라는 저자의 의견은 결코 15분에 머무르라는 것이 아니다. 15분이 시작이요 첫 걸음 인 것이다. 책읽기의 마법에 빠져들다 보면 잠자는 시간이 줄어들 정도가 될 것이니 미리 짐작으로 어려워하지 않아도 되리라 믿는다. 조급했던 하루일과도 생각과 사고의 연속으로 풍요로워질 것임은 확신한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인생이라는 긴 여정을 알차게 채워줄 좋은 벗을 사귀는 것과 같음을 살며 책읽기를 하며 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다. 이 책을 쓴 저자의 경우처럼 말이다. 내게 또 한 권의 소중한 책이 되어준 이 책이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