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웨덴 - 노벨과 교육의 나라
박두영 지음 / 북콘서트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스웨덴이라는 나라는 세계지리 시간에 위치 혹은 지형적 특징에 관한 문제로 접해 왔을 뿐, 나와는 너무 먼 나라로 인식되어 왔었다. 최근에 읽은 책들의 저자가 스웨덴이었거나, 스웨덴에 관한 책들이 조금 있어 약간의 지식을 얻은 것 외에는 여전히 인식에 있어서는 먼 나라다. 이 나라가 요즘 나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적은 인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와는 3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소득의 원천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나 복지국가로의 이상적인 지향점인 국가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알게 모르게 우리 주위에서 이용되던 제품들을 발명한 사람이 스웨덴인이었던 것도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나라는 노벨상 수상 비율이 유독 높다. 그 이유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교육이 그 해답일 것이라면 더더욱 알아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3년 째 스웨덴에서 생활하며 그곳의 문화나 사회 전반적인 일들을 직접 겪었다는 저자의 글을 읽어나간다. 위에서 의문점이 되었던 부분에 대한 해답이 들어 있었다. 우선 노벨상 수상자의 비율이 많은 배경에 대해서는 교육에 원인을 두고 있다. 우리 나라의 교육과 비교해본 가장 큰 특징은 사교육비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공교육의 천국이라고 하는 스웨덴의 교육의 특징은 무상교육과 실용주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 중 실용주의 교육을 다시 살펴보면 초중등학교에서는 과목의 수와 시간은 우리보다 적지만, 생활에 필요한 부분에 대한 교육을 우선에 둔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 생활전선에 나가도 무리가 없을 만큼 가능하다는 것으로 외국어는 통상 2,3개국어가 가능하다. 대학 진학률은 40% 정도이다. 대학에서의 학업은 곧 산업체의 현장실습으로 교양과목에 대한 공부보다는 전공에 무게를 둔다. 산학연계가 잘 이루어진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 대학 교수님들이 대학 신입생을 기초부터 다시 가르치느라 애를 먹고 있노라는 넋두리가 떠오르는 대목이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산업 클러스터는 IT관련 대학의 취업률 100%를 보아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했는데 이는 높은 대학 진학률에 이유가 있다고 본다. 물론 기업의 어려운 현실과도 관련이 있겠지만 말이다.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이가 많은 이유는 더 좋은 직장과 연관되는데, 산업체보다 많은 잉여노동인구의 이유이므로 아쉽지만 조금 더 시도해 보는 노력이 있기를 기대해 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회적인 공감과 노력이 스웨덴의 기업과 대학의 전반적인 분위기라는 것이다.
작지만 강한 정부라는 표현이 매력적이다. 스웨덴의 정치 문화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크리라는 짐작이다. 작지만 강한 정부라는 것은 스웨덴 국민 모두의 화합의 결실일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 문화가 오히려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라는 생각이 드는 요즘의 우리 모습으로는 이들의 정치문화가 새롭게 인식될 것이라 생각한다. 정치인도 전철과 버스로 출퇴근을 한다는 점만 보아도 정치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정부는 결국 국민에게 돌려주는 바가 크므로 국민의 대다수가 많은 혜택으로 풍요로운 삶을 일구어 갈 수 있다. 모든 이들이 바라마지 않는 복지국가가 스웨덴의 대표명사가 아니던가. 세금에 대한 저항이 없다라는 것은 정부를 믿는 국민의 모습인 것이다. 이는 결국 정치문화의 자율성과 공정성 등의 문제해결이 우선되어야함을 깨닫게 한다. 이외에도 스웨덴이라는 나라에 대해 궁금한 점은 마지막 부분의 단편적인 글들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