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1 - 우리 역사의 새벽이 열리다 (45억 년 전~30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1
오강원 지음, 김종민.서영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학습용 도서로 기획되었다. 그래서 책을 읽기 전에는 어느 정도 자료의 부실함을 예상했었는데, 오히려 의외의 소득을 얻는 결과가 되었다. 다양한 사진, 그림, 이야기들이 역사공부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었던 것이다. 이야기를 풀어가듯 서술하는 책은 마주보는 역사 시리즈답다. 아이들이 역사를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책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책은 한국사 교실 시리즈 1권으로써 새로운 나라의 등장까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지구의 탄생을 간략히 다루고 한반도와 만주 일대의 사람들의 등장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선사시대의 인간생활에서는 남아있는 유물, 유적을 통해 이해를 도와야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많을 것이다. 이 부분은 그림을 통해 도구나 각종 유물들의 사용처를 설명하고 있다. 단순히 유물들의 나열은 이해도 어렵거니와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없다. 자세한 설명 하나하나에 정성이 쏟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것. 구석기 시대의 동굴 유적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연상하여 설명한다면 재미있는 이야기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외워야만 했던 빗살무늬 토기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각 종 청동 장신구 착용한 남자의 모습은 열 마디 말보다 빠른 이해를 도울 수 있으리라.

 

고조선 건국과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의 나라들에 대한 설명은 위의 방법에 더해 역사 만화 등을 통해 재미를 보탰다. 각 나라의 건국 설화에서부터 과정까지 재미있는 만화가 가득하다. 지도를 통해 각 나라의 영역을 살펴보고 있음은 말 할 필요도 없다. 내용이 알차 읽는 재미와 배우는 재미 모두 얻을 수 있는 책이라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책 끄트머리엔 한국사를 정리해 놓은 노트까지 있어, 빠르게 살펴보아야 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중학교 국사시간은 현재 일주일에 한 시간 혹은 두 시간이다.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역사교육의 중요성으로 단위가 늘어날 예정이라고 하지만, 두꺼운 교과서를 이해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부족한 점이 많다. 뿐만 아니라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워낙 많아 나열식 내용인 것이 학생들에게 역사는 암기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이 책은 초등학생용 도서라고 하지만, 중학생이 읽어도 재미있는 역사공부의 시간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각종 자료가 다른 책에 비해 크고 이해하기 쉬운 단어들을 사용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좋은 참고서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겠다.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좋은 책이므로 강력하게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