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의 뼈 - 마키아벨리와 다 빈치가 펼치는 고도의 두뇌추리
레오나르도 고리 지음, 이현경 옮김 / 레드박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때는 1504년, 피렌체에서 소설은 시작된다. 원숭이 떼의 공격으로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장면은 아비규환이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하는 의문으로 시작되는데, 해답을 찾기는 어렵다. 왜 이러한 일이 벌어지고 있으며 누가 사주한 일인지도 명확하지 않는 상황에서 한 사람이 등장한다. 우리에게 <군주론>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피렌체공화국의 서기관 마키아벨리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랄한 군주의 모습을 모델로 삼은 그라고 생각한다면 이 책을 통해 그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질 것이라 생각된다. 악랄했던 체사레 보르자를 이상적인 군주 모델로 삼았던 배경에는 당시 이탈리아의 상황이 그러할 수 밖에 없었다는 데에 있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군주국, 공국, 공화국, 교황령 등으로 세력이 분열되어 자국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는 세력들의 움직임으로 혼란한 시기였다. 피렌체는 피사와 대립하고 있던 상황으로 아르노 강줄기의 방향을 돌려 피사를 제압하고자 한다. 이 때 고용된 이가 또 한 명의 주인공 레오나르도이다. 아르노 강의 수로를 변경하기 위한 운하현장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마키아벨리가 두란체와 지네브라와 함께 도착했을 때 레오나르도는 현장을 떠난 후였다. 발견된 흑인과 고릴라의 시체는 해부된 상태, 이는 레오나르도가 범인 혹은 그와 연류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를 쫓는 여정이 시작된다.
다음번 희생자는 철학교수 필리포, 죽은 그의 옆에는 이상한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이 또한 레오나르도의 짓임을 은연중에 깨닫게 되는 세 사람 중 두란테는 그를 찾아가는데, 곧 싸늘한 주검이 되어 돌아온다. 그는 레오나르도에게 고대의 책을 전하고자 했었다. 그 책의 행방이 묘연하다. 정치적인 혼란이 있었지만 당시 이탈리아는 상업이 발달하였고 그로 인한 동방과의 교류로 인해 고대 문화의 유입이 활발해졌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동방의 콘스탄티노플 등에서 중요한 책이 레오나르도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그동안 세속을 지배하고 있던 교황이라는 권력이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레오나르도를 찾았지만, 해결책은 어디에도 없었다. 무엇이 진실이고 누가 적이고 내편인지조차 확신할 수가 없었다. 레오나르도는 피렌체에 고용되었지만, 연구를 위해 베네치아의 사주를 받는다. 그러나 곧 밝혀진 바로는 이는 베네치아가 아닌 동방의 술탄의 속임수. 이를 예견한 교회와 교황은 첩자, 즉 지네브라를 보내 그들을 주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무엇 때문에 이러한 속임수가 꼬리를 물고 지속되는가? 레오나르도의 연구에 이목이 집중되었고 그에게 해명할 기회를 주게 된다.
가공할만한 무기를 만들고 있었다는 레오나르도, 천재로 알려진 그도 두려워할 만한 무기를 만들었다니 각계의 중심인물들이 주목할 만 했다. 교황의 비밀회의를 통해 밝혀진 무기는 기계 따위의 것이 아닌 관념이나 이론으로 교황과 술탄도 두려워 할 만 한 것이라 한다. 소설의 첫 장면인 원숭이 떼와 아르노 운하에서의 흑인과 고릴라의 시체도 이 무기와 연관이 있었다. 어쩌면 우리에게는 조금 허무한 느낌마저 지울 수 있는 무기가 될 지도 모른다. 진화론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의 책들과 연구의 결과로 알게 된 이 사실이 무기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 대한 교황의 지배가 절대적이었음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러한 교황의 세력이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었고, 이에 대한 반동으로 세속 군주의 세력이 강화되어 가고 있던 분위기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긴박감 넘치는 여정의 결과가 다소 부실한 결말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고대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새로운 분위기가 당시 이탈리아 세력구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것이 이 책의 묘미가 아닌가 싶다. 더불어 군주론과 진화론에 대한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팩션 소설이라는 한계가 있더라 하더라도 의미가 작아지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