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의 맛
오현종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빛이 감도는 바닷가에 사과 한 개가 전해주는 표지의 의미는 무엇일까. 푸른빛이란 파랑도 초록도 아니면서 모두 맞는 표현인 것 같고, 사과의 맛은 달콤한 듯 하면서도 시큼털털한 맛이 느껴지는 것 같기도 하다. 편집자는 이 책을 대중에게 알리고자 어떤 고민을 하였을까. 책을 읽고 느낌을 말하는 나는 어떻게 내 감정을 말해야 할까.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게 만드는 책인 것 같다.

이 책은 재미있는 동화가 현실과 어우러져 있는 책이다. 아라비아의 왕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었던 무녀의 이야기처럼 끝날 것 같지 않은 이야기들이 밤을 지새우게 만든다. 9가지 이야기는 독특하고 다양한 이야기 거리가 가득해 상상의 재미를 만끽하는 기회를 가져다준다. 동화라든지 설화라든지 우화라든지 이제는 뭐든 새로 보기 하는 것이야말로 대세인 듯 보인다. 그 중에서도 요즘 내가 접한 책 중에 단연 독보적인 책이 아닌가 한다. 구성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 엉성함 보다는 절묘함이 깃든 소설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동화를 들려주는 듯 보이나, 현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의 내용은 동화 속 아름다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갑갑한 현실마저 동화적인 이야기로 승화시키는 매력을 지닌다. 그래서 더 재미있고 또 슬픈 느낌을 가져다준다. 상추를 좋아하는 여자의 남편이 상추를 얻기 위해 이웃집 여자와 바람을 피워 낳은 라푼젤의 이야기는 한편의 동화 같다. 라푼젤을 사랑하는 왕자의 구애가 결국 아기를 낳는 이후로 파국을 맞는 등의 결말로 동화는 현실에서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하고 있긴 하지만. 동화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어공주이야기는 어떠한 이야기로 변모시킬까. 다리를 얻는 대신 목소리를 잃은 인어공주의 행복한 결말은 기대하지도 않았지만, 해도 너무 할 정도로 가혹한 뭍살이다. 시어머니의 구박과 남편의 무능함에 지쳐버린 인어공주의 삶은 어떤 삶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인가. 결국 동화와 같은 것은 바다로 돌아가 행복한 여생을 사는 정도밖에는 없다. 현실이 동화처럼 같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작가 유독 시집살이 하는 여인네들을 동정하는 듯 보인다. 닭을 고집하는 며느리와 달걀을 고집하는 시어머니 사이의 이야기가 그렇다. 동화의 한 장면을 발췌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실력이 비상하다.

동화를 이야기 하고자 한 것인지, 현실을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인지 혹은 현실을 이야기하기에는 너무도 가혹해 상상속의 행복한 이야기들을 가미한 것인지 구분이 모호할 정도로 치밀한 내용들이 재미를 더하는 책읽기였다. 어두운 내용의 글이면서도 재미를 느끼게 할 정도로 작가의 이야기 실력은 뛰어났다. 오현종이라는 작가의 다른 책들이 궁금해질 정도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