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 - 2008년 문학수첩작가상 수상작
주영선 지음 / 문학수첩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특별하면서도 일상적인 느낌을 모두 간직한 책이다. 아니 특별한 듯하지만, 일상의 모습과 너무 닮은 소설이다. 읽는 동안 주인공이 나 인 듯 느껴질 때가 많아 그녀의 힘겨움만큼이나 힘들었다. 내가 사는 세상과 그녀가 살아 내야하는 세상이나 소통의 부재가 발목을 잡는다. 그로인한 감정의 소모가 하루하루 기력을 빼먹는 무엇임을 느낄 때마다 세상에 홀로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럴 때마다 현실을 마주하지 못하고 세상을 바로보기 하기가 겁이 났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다고 한다면 누구나 어느 곳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하지만, 그녀의 직업이 공무원이라서 그런가. 비슷한 구석이 없지 않아 씁쓸한 기분을 지울 수가 없었다.

여느 시골마을처럼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온갖 아름다운 것들이 창밖 풍경을 메운다. 그 속에 살고 있는 삶들이 한층 풍요로워 보이는 시골마을이 소설의 배경이다. 어느 날 보건진료소의 준공식 행사장을 첫 장면으로 소설은 시작된다. 마을잔치라고 볼 수 있는 흐뭇한 풍경과는 다르게 그 속에 등장하는 마을 사람들의 태도가 수상하다.

박도옥과 장달자라는 마을 할머니들의 세력다툼은 수상함을 넘어서 도를 넘는다. 더군다나 새로 지은 보건진료소의 준공식 이후 진료소장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기 위해 고심하는데, 여의치 않자 둘이 합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적이 있으니 공동의 전선을 구축하는 것이리라. 이는 살면서 종종 찾아오는 인간관계의 모습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더욱이 이상한 것은 마을 사람들의 태도였는데, 진료소장 앞에서는 따뜻한 충고와 위로를 아끼지 않으면서도 박도옥과 장달자와 함께 할 때에는 아귀 무리들처럼 진료소장을 헐뜯는 행태를 보인다. 서로 박도옥과 장달자의 몰상식함은 인정한다고들 하면서 편에 끼지 못해 안달이다.

마을 이장들과 반장들의 모습은 안이한 태도로 사태를 방관하는 보통사람의 모습이었다. 그런데도 그 모습이 무척이나 야비해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소설을 통해 나를 비판하고 있는 듯해 뜨끔하기도 했다. 선뜻 나라고 해도 소위 총대를 메지는 못하리라는 생각이 들면서 그들의 모습이 더욱 보기가 싫어졌다. 여기에 진료소장을 지치게 하는 이가 있으니 상급기관이다. 상급자가 보호해 주어야하는 것은 아니나, 부당한 행위로부터 곤란을 겪고 있는 경우 사실여부를 따져볼 의무는 있는 것이 상식이 아닌가 하는데, 이 또한 답답한 소리다. 결국 주인공의 올바를 처사에도 불구하고(물론 마을사람들이 원하는 바와는 상당히 다른) 고립되어 간다.

“왜 내 삶은 소통이 안 되는 것투성이인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않는 아이와 정상적으로 나를 대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나는 웃음을, 관계를 잃어 갔다. p.115”
"이 세상의 모든 기준, 그 기준에 미달되어 장애인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 아이는 아침에 눈을 뜨면 또다시 소통되지 않는 세상으로 나와 이방인으로 하루를 살아야 할 것이다. p.239"

이 시점에서 소설의 결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사람들과의 소통의 부재로 인해 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로서는 소설 내용을 통해 현실도 이와 다르지 않다라는 느낌을 받고는 무기력해져 있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풀어 나갈 것인가. 지금까지 나를 사로잡았던 작가의 현실인식은 해결에 있어서도 확연한 답을 주리라 여겼다. 몇몇 사람의 입을 빌려 넌지시 이야기하고 있는 해결책인가. 제 기분을 죽이며 살랑살랑 밥이나 술을 대접하는 방법 외에는 없는 것일까. 아니다. 작가는 주인공의 심정을 빌려 이를 올바른 해결이 아니라고 말해주고 있다. 그렇게 믿고 싶었다. 상식이 통하지 않고 인격모독을 서슴지 않는 사람에게 자신을 굽히는 일이 가장 좋은 방법은 아닐 것이라고 믿고 싶었다.

하지만, 결국 ‘아웃’이다. 그들의 의기투합은 결국 진료소장을 밖으로 아웃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야 말았다. 그들의 협박에는 힘이 있었다. 사람들의 본성을 움직이는 무언가가 있었다. 동조하지 않으면 희생물이 될 수도 있음을 끊임없이 세뇌시킨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조인공은 소통의 부재의 세상 속에서 자폐증을 앓는 사람처럼 자신을 가두고 만다. 소통이 되지 않는 삶을 바꿀 요량은 없는 것인가가 내 머릿속을 메운다. 사회와 소통하지 못했으나 깨달음을 통해 자신의 삶을 살았던 사람들에 대한 책을 찾아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 소설의 결말에서 느꼈던 무기력감을 해소시키기 위해 나를 위한 구제책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