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여걸열전 - 우리 민족사를 울린 불멸의 여인들
황원갑 지음 / 바움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여인천하를 소재로 한 책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조선왕비 오백년사와 세계를 주름잡은 여왕의 시대를 읽은 지 얼마 안 되어 이 책에 집중하게 된 것은, 한 시대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나라 역사 전반에 걸쳐 이름을 떨친 여인들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될까 싶어서였다. 이 책은 그동안 이름으로만 듣던 인물들에서부터 처음 들어본 인물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모습과 상세한 설명을 덧붙여 우리나라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었다.

안타까운 점은 저자의 지적한 바대로, 승자의 기록으로 이야기 될 수 있는 역사 쓰기로 인해 그 시대에 큰 업적을 세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후대의 혹독한 평가로 쓰이는 데에 있었다. 더군다나 여자의 신분이란,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미천한 것이 되어서 신라의 정통을 계승했다고 보는 고려의 김부식이나 조선 사대부들의 인식이 곱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더욱 의의가 있다. 다양한 해석과 가능성을 열어놓으려 노력한 것이다. 작가 혼자한 상상이 아니라 다른 사료의 분석을 통한 상당한 객관적인 설득이다. 저자의 노력이 가볍지 않음을 느끼는 것은 그 책을 읽는 기쁨 중에 하나일 것이다.

고조선의 시작을 알리는 웅녀로부터 조선의 명성황후에 이르기까지 시대 순으로 27인의 여인들에 대한 내용으로 채워진다. 각 인물은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져도 손색이 없을 만큼 다채로운 인생을 겪는다. 그 격랑의 삶속에서 헤쳐 나아가는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생각이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 역사의 기록이란 것이 승자의 것이고 남성 위주의 것이다 보니, 여인들의 삶을 온전히 기록한 부분을 발췌해 분석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낙랑공주는 호동 편에, 선화공주는 서동 편에 곁다리 식으로 엮인 때문이다. 이 책은 역사적 상상보다는 사실을 되도록 언급하려고 노력하는데, 각 인물에 대한 호기심을 살려본다면 팩션으로 나와도 손색이 없으리라는 생각이다. 비류와 온조를 이끌고 백제 건국에 이바지 한 소서노의 이야기는 선화공주와 서동의 이야기로 엮은 ‘연서’라는 책의 중요 줄거리로 소개되었고, 미실궁주의 복잡한 가계구성은 ‘세상은 큰 놀이터다’라는 책으로 얼마 전에 접하게 되었는데, 그 감동을 잊지 못한다. 그러한 팩션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 사실들을 한데 모아놓은 책이니 유쾌하고 즐거운 책읽기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에 소개된 여인들 중에는 한 세상을 주름잡았던 여인들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여인들도 있음에도 한 데 묶어 여걸 열전이라 한데에는 그 여인들이 있었음으로 인해 세상의 큰 변화를 가져왔음을 말하고 싶은 것이라 생각된다. 능동적이었든 그렇지 않았든 그녀들의 존재가 작아지는 것이 아님을 이 책을 읽어본다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여인들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고자 책을 만들었다고 한 저자의 의도를 곱씹어 본다. 600여 페이지나 되는 분량이지만 한 번에 읽어 낼 수 있을 정도로 흥미가 있으며 시간에 쫓기더라도 도중에 중단하고 새로운 인물을 만나보면 되니 걱정할 필요는 없으리라는 생각을 해본다. 다시 여인들의 모습이 그리워지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가까운 책장 한 자리에 꽂아 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