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면기사, 피로 얼룩진
가쿠타 미쓰요 지음, 민경욱 옮김 / 상상공방(동양문고)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어제 한 TV프로그램에서 최근 사회 기사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묻지마 범죄”를 다루었다. 일본에서 흔해 보이던 이러한 범죄가 왜 꾸준히 잦아지고 있으며 원인은 무엇이고 대안은 없는가를 전문가들이 분석해 보려는 시도였던 것 같은데, 묻지마라고 했듯이 이유가 없어서 더 위험하다라는 결과를 내보내 더 몸서리치게 만들었다. 당할 수밖에 없다는 건가하며 무섬증을 호소해보기도 하지만, 대안이 없다니 막막해져버렸다. 이 책에 나오는 기사들은 이유가 있었다. 막연한 이유이라는 것이 문제이긴 했지만.

이 책은 최근 일본의 사회면 기사 중에서 이슈화 된 사건들을 꼽아, 왜 그러한 범죄를 저지르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파헤친다. 이러한 의도는 어떤 면에서는 바람직 하지만 또 다른 면에서 본다면 그렇지 못하다. 우선 바람직하다는 것은, 범행 동기를 살펴보게 함으로써 조금 더 사회적으로 공공의 노력으로 사건을 미리 방지 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사회가 발달하고 어느 면에서는 진일보한 면이 있으나, 결국 소외받고 고통 받는 사람이 늘어감에 따라 등장하게 되는 부작용을 같이 짊어지고 나아감을 호소해 어느 정도 수긍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역시 동의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인간에 대한 파괴욕구를 정당화하는 부분이 있어 그렇다. 물론 누구에게나 사정이 있다라는 말을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 해도 상식이라든지 인간으로써의 마땅히 지켜야할 무언가가 결여되었다는 점이 그런 생각을 더한다.

유독 동양인들은 사건의 배경을 파헤치기 좋아한다고 한다. 범인의 범행에 앞서 그가 살아온 지난날에 대한 지나친 각색과 설명은 동의를 불러일으켜 결국에 가서는 죄를 가벼이 여기게 하는 작용을 불러일으킨다. 함께 모색하고 대안을 찾는 것은 좋지만 이러한 의도는 생각 밖으로 죄질을 가볍게 함으로써 다수의 선량한 시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될 것이다. 범인들의 범행동기가 현대사회의 소외였던 점을 부각시켜 이해를 높이는 이 책도 그러한 평가를 지나치지 못하리라는 생각이다. 책 뒷면에 책 소개란에 이런 글귀가 있다. “평범한 인간의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묘파한 가쿠타 미쓰요의 연민에 찬 시선”, 이 책의 몇 가지 에피소드들은 한눈에 사로잡을 정도로 엽기적인 사건들이다. 그 사건들에 보내는 연민에 찬 시선이라...물론 책 내용도 그러한 시선으로 쓰여 졌다. 일상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작은 행복에 연연해한다. 그들은 소외되었으므로 소설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연민의 기분을 자아낸다. 빨간 필통의 미치와 영원의 화원의 아미의 시선을 좇다보면 공감이 되는 부분이 있어, 범행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심정을 이해하게 되는 수준까지 다다른다. 어느새 감정이입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의도는 결국 인간에 대한 동정일지는 모르나 지나치게 되면 안된다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이 책을 읽기 전 주의할 사항이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