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 이덕일의 시대에 도전한 사람들
이덕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저자 이덕일님의 오랜 독자로써 이번의 출간이 사뭇 반가웠다. 이덕일님의 역사책을 책상에 가지런히 꽂아 두고 곱씹어 읽을 만큼 그의 글을 좋아하는 나를 두고 누군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그이는 역사계에서는 이단아 같은 존재야.” 그의 글을 두고 정사니 아니니 하는 평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개의치 않고 그의 책을 즐긴다. 내가 이덕일님의 역사책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럿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는 글이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이가 높게 평가하는 인물들은 대개가 군주와 백성을 사랑하는 이들이 많았던 때문인지 주류가 아닌 비주류들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많았었다.

권력이란 것이 품으면 부패하고 마는 성정을 지니고 있어, 주류가 되면 군주와 백성을 잊는 이들이 많았다. 그러한 이들이 쓰는 역사보다 스러져 간 이들의 모습을 되찾는 역사 쓰기는 역사를 공부하고 읽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역사를 살았던 인물과 사회에 대한 사랑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그의 역사 쓰기에 높은 점수를 주고픈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또한 시대와는 불화했지만 역사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저자 역시 조선의 주류를 이루었던 노론의 시각이 아닌 다른 시각의 역사 쓰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시대에 도전한 또 하나의 1인이 아닌지 모르겠다.

이 책은 총 네 부문으로 구성된다. 중화라는 이름의 감옥을 깬 6인, 신선한 공기는 죽음보다 감미롭다의 7인, 일하지 않는자 먹지도 말라의 5인, 내가 가면 길이 된다의 7인 모두 25명의 인물들을 담고 있다. 중화 즉 사대주의의 골속에 깊이 파묻혀 나라와 백성을 져버리는 시기에 이를 거부한 인사들, 닫힌 시대 속에서도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고자하는 위인들, 사대부는 일하지 않고 오히려 백성의 피를 빨아먹는 세태를 거부한 이들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한다면 옳은 일이었으나 시대의 주류와 조화롭지 못하여 역사속의 외로운 위인들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들의 행적을 들추어 보여주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동안의 역사를 부정하는 처사가 아니라는 생각이다.

그들의 모습에서 저자의 모습을 본 때문일 것이고 저자 서문에서 밝혔듯이 역사가의 의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 도 있다. 역사의 진정한 몫은 시대와 대화하는 것이라 여기는 저자는 그 몫을 우리에게 주고자 한다. 시대는 변화했지만, 여전히 좌와 우가 합하지 못하고 위정자들의 모습에서 옛 인물들의 모습이 겹쳐지기도 한다.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라고 맞선 김일경의 외침이 더없이 그리운 때이기도 하다. 저자는 25인의 외로운 길을 보여주고 이들의 모습을 통해 현재 그리고 미래의 우리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