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1 - 하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밀레니엄 (아르테) 1
스티그 라르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아르테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불행히도 출간을 앞두고 운명을 달리했던 작가는 스웨덴의 기자이면서 작가였던 스티그 라르손. 생전에 말괄량이 삐삐의 열렬한 팬이자 SF문학의 박식한 전문가이기도 했다고 하니 밀레니엄은 그의 생전의 관심을 한 곳에 모아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은 많은 인물 그리고 사건 그 속의 힌트들로 짜여 있어 초반에 구도를 파악하는 일이 좀처럼 쉽지 않다. 다행히 반예르 가의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는 메모가 있고 워낙 흡인력이 뛰어난 소설이기 때문에 금세 찾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에 대한 느낌을 한마디로 표현해 보자면 엉킨 실타래를 풀어나가는 느낌이었다. 엉킨 실뭉치는 생각보다 커서 조금의 노력정도는 도움이 되지 않아 가위로 자르고픈 욕망이 생기기도 한다. 그렇지만 한 가닥 한 가닥 풀다보면 어느새 몰두하게 되고 스르륵 풀어져 도취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소설의 느낌과 닮았다. 

소설은 미카엘과 리스베트를 담는 글이 교차로 진행된다.

『밀레니엄』의 공동 책임자인 미카엘은 베네르스트룀 사건을 폭로하지만 오히려 유죄판결을 받게 된다. 잡지사의 운명이 난항을 겪고 있을 무렵 그에게 한 가지 제의가 들어온다. 오래전 실종된 반예르 가의 하리에트의 행적을 찾는 것. 반예르 가의 누군가에 의해 살해 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있는 헨리크 반예르가 의뢰인이다. 반예르 가는 헤데뷔라는 섬에 자리하고 있고 그날의 실종은 외부와 단절된 밀실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말괄량이 삐삐처럼 바싹 말라 십대소녀처럼 보이기도 하는 리스베트는 정규교육을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지만 컴퓨터에 있어서는 최고다. 금치산자로 후견인의 동의 없이는 결정할 수 없는 사회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그녀를 이용하고자 하는 변호사를 엿 먹이는 장면은 더위를 날려버릴 정도로 통쾌하다. 사회를 믿지 못하게 된 그녀의 내막은 1부 내내 밝혀지지 않는다. 아마도 2부에서 그 이유를 알게 되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이 둘이 최상의 콤비로 만나게 되는 것은 사건의 진척이 어느 정도 되어 미카엘의 조사가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게 될 무렵. 헨리크는 미카엘에 대한 조사를 그녀에게 의뢰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대인조사 실력을 신뢰하게 되고 미카엘에게 그녀를 소개한다. 하리에트 노트의 암호들은 여성들을 상대로 한 연쇄살인과 관련되었고 결국은 반예르가의 누군가에 의한 사이코패스적인 살인들이었음을 밝혀나가게 된다. 살인자를 밝혀내는 과정은 놀라울 정도로 극적이어서 눈을 돌릴 수 없을 지경이다. 이 둘의 관계맺음의 모습 또한 인상적이다. 즐거움의 몫은 독자 스스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싶다.

700여 페이지의 소설은 어느 부분을 잘라 요약할 수 없을 만큼 논리 정연하게 이어져 있다. 여느 추리 소설처럼 일정한 열쇠를 손에 쥐면 해결이 되고 말아지는 소설이 아니라 끝까지 추리를 멈출 수 없게 하는 무언가가 이 속에 있다. “책을 손에 잡은 뒤 거의 자지 않았고, 2,000페이지를 한 번에 읽어 내렸다.『밀레니엄』은 마지막 페이지가 다가오는 것을 두려워하면서 매 페이지를 음미할 수 있는 그런 책이다.” 프랑스판 역자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덧붙이자면 2,000페이지를 한 번에 읽을 수 있었던 그가 부럽기까지 하다. 11월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다림이 고통이 될 지경일 정도로 소설에 매료되어 버리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