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력 증후군 - 제1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윤고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읽어본 적이 있는가? 내 기억에 책을 읽은 이들은 모두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책의 내용과 그 의미에 대해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어, 다른 사람의 책을 읽은 것은 아닌가하는 불안함을 느껴 본적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책은 읽는 이로 하여금 타인과의 불일치되는 느낌으로 혹은 한 번의 읽기와 두 번의 읽기 사이에서도 달라지는 의미로 하여금 당혹케 할 만큼 숨은 의미 찾기의 묘미가 살아있는 책이다.

어느 날 갑자기 두 개의 달을 가지게 된 지구. 그동안 알게 모르게 일상의 질서를 유지시켜주던 달의 인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자, 혼란에 빠지게 되는 지구인들. 주인공 노시보의 눈으로 혼란스러운 지구의 모습을 담고 있다. 노시보가 살고 있는 소설 속 현재의 모습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일상과 닮았는데 작가의 상상이 가미된 냉소적인 시선 속의 일상은 차라리 이루지 못한 지구의 종말마저 그리울 듯 슬픈 모습이다.

명언 짓기의 고수인 사장이 있고, 과장 아래의 직원도 없는 회사는 사표를 폭탄삼아 살아가는 동료들이 고군분투하는 식빵이며 두부다. 회사는 단지 모험심이 부족한 유전자의 탓으로 다니고 마는 그런 곳이다. 엄마는 종교에 심취해 있고, 아버지는 쪼그라들었고, 형은 스마트 유전자를 보유한 능력인이지만 요리를 한다. 노시보는 만성병을 앓고 있다. 대부분이 그렇듯 스트레스가 원인이다. 사람들은 죽지 못해 살아가는 사람들처럼 현실의 무게에 짓눌려 살아가고 있다. 이들의 삶 혹은 현실에의 무게를 중력으로 볼 수 있다면 그들이 바라고 마는 것은 일탈 혹은 무중력이다.

무중력이 달의 출현으로 곧 현실로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기쁜 소식이 지구에 날아든다. 물론 아직은 이루어 지지 않았으나, 곧 그러리라 믿는 사람들이 속출하면서 지구인들의 모습은 변하기 시작한다. 모두 일탈을 꿈꾸고 무중력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내건다. 그 모습은 혼란스럽기도 했고 자연스러운 것이기도 했다. 달은 점점 늘어 6개까지 늘어났다.

중요 뉴스거리에 대한 공유는 소외감마저 날려버리는 묘한 힘을 가지고 있듯이 달의 출현은 일체감마저 가져다주었다. 달의 출현은 곧 달과 관련된 무중력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과 상업을 등장하게 하고 대히트를 치게 한다. 노시보의 만성병 원인이 무중력 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은 뉴스가 나갔을 때에는 우후죽순 격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등장하게 되어 또 한 번의 큰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문제는 시간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달은 어느 새 더 이상 새로울 것 없는 뉴스거리가 되어 버리고 말았다. 연일 터지던 뉴스도 시간이 잠재우고 있었다. 무중력이 과잉된 사회는 식상한 것이었다. 결국 달은 계속 하나였다는 또 다른 뉴스가 결국 지구인들을 경악하게 하며 소설은 끝을 맺는다.

뉴스와 특종에 열광하며 그 오류로 인한 동요 또한 이성적이지 못함을 혹은 오보로 인한 일탈마저 함께 공유하며 안도하고 소외감을 떨쳐버리고 있음, 이 모든 사건이 중력 때문에 짓눌린 현대인들이 무중력을 꿈꾸고 있기 때문임을 보여주는 글은 현대인의 엑스레이 사진처럼 적나라하다. 작가의 숨은 비판이 번뜩이는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