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많은 금기 ㅣ 호시 신이치의 플라시보 시리즈 21
호시 신이치 지음, 윤성규 옮김 / 지식여행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기 전에 그 책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그 전에 사고 읽은 구매자들의 리뷰를 보거나 신문지 혹은 매체에서 소개하는 평을 읽는 방법, 혹은 책의 머리말과 추천사를 읽거나 책의 제목에서 약간의 정보를 얻는 것이 일상적일 것이다.
매체들 혹은 추천사의 호시 신이치라는 일본 작가 소개사가 거창하다. 억 단위의 팬들을 보유한 작가란다. 세계 각국의 각종 언어로 번역되고 있는 그의 책들은 어떠한 메시지를 담고 있을까? 기대 반 호기심 반이라는 표현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제목『수많은 금기』에서다. 오호라...금기에 관한 것이로군. 금기라고 한다면 역시 또 궁금해지는 인간의 본성답게 호기심을 가득 담아 읽어 내린다.
우선 내용이 쉽다. 쉬워서 그런지 너무 잘 읽힌다. 리뷰를 써야하는 부담에서인지, 이야기의 요점을 파고든다. 그러다 곧 꼬인다. 이런...그렇게 결국 두 번을 정독을 하고 말았다. 다시 생각해보면 어쩌면 이 책은 가볍게 읽어내려야 하는 류의 책인지도 모른다. 오히려 두 눈을 책에 고정해서 작가의 의도를 의구심을 품은 채 찾아내려 하면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닐까.
하나의 쇼트쇼트스토리로 이 책의 의도를 파악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상한 청년이 한 병원을 찾는다. “나 귀신인데...” 이런 말을 들으면 정신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의사들은 즉각적으로 정신적인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러나 결국 섣부른 판단과 실험적 대상으로의 인간으로만 대하던 환자를 죽이고 만다. 의사들의 사후처리는 간단했다. 그럴 듯한 서류를 작성해 일말의 반성의 절차도 없이 깨끗한 마무리를 보인 것. 다시 찾아오는 또 다른 이상한 청년의 한마디 “나 귀신인데...”
16가지의 이야기들로 되어 있는 이 책의 내용은 평상시 가끔 우리가 해봄직한 일들이 아닌 신선한 충격을 동반하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다. 작가로써 많은 소재와 이야기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매력이지만, 이야기가 짧음에도 맺음 문장에서 느껴지는 강렬함이 가장 큰 매력으로 다가온다.
책 내용이 사뭇 낯설더라도 마지막 단락에 와서는 안정감마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체호프 단편집을 읽을 때처럼 멍하다가도 오호!하는 탄성을 내뱉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호시 신이치의 지나치며 툭 던지는 듯한 한 문장을 곰곰이 새겨보는 것이 이 소설의 묘미다.